매일신문

유가 초강세 33$ 돌파

겨울 난방유 파동 예고【카이로┤】사우디 아라비아 파드 국왕의 증산 추진 지시에도 불구하고 국제 원유가격이 30일(이하 현지시간) 또다시 크게 상승, 뉴욕시장에서 배럴당 33달러선을 넘어섰다.

뉴욕상품시장의 10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중질유는 이날 배럴당 33.32달러를 기록, 전날보다 58센트 급등했다. 34.13달러까지 치솟아 90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던 지난 3월7일 이후 거의 6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런던석유시장의 10월 인도분 북해산 브렌트유도 전날보다 62센트 오른 31.98달러에 달해 배럴당 32달러선에 바짝 다가섰다.

석유수출국기구(OPEC) 기준유가 역시 29일 전날보다 15센트 오른 31.37달러로 집계돼 12일째 증산한계선인 28달러선을 웃돌았다고 빈에 있는 OPEC 사무국이 30일 밝혔다.

이날 국제 유가는 사우디 파드 국왕이 알리 석유장관에게 증산 문제를 OPEC 회원국들과 협의하도록 지시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일시적으로 하락했으나 곧 강세로 돌아서 오름세를 지속했다.

전문가들은 파드 국왕의 증산 추진 지시에 구체적인 물량이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우디의 증산 목표가 하루 50만배럴선에 그칠 것으로 분석돼 유가가 강세를 지속했다고 말했다.

사우디는 지난 7월에도 하루 50만배럴 증산을 주장했으나 OPEC 회원국들의 반발로 이를 실현하지 못했다.

최근의 유가 상승에도 불구, OPEC 의장인 로드리게스 베네수엘라 석유장관은 "석유시장의 공급은 부족하지 않으며 유가 폭등은 석유소비국들의 높은 세금 등 다른 요인들에 의한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란의 OPEC 담당관도 29일 "석유시장의 공급은 부족하지 않으며 펀더멘틀이 건전하다"고 주장했다.

석유시장 관계자들은 이때문에 다음달 10일 열리는 OPEC 각료회의에서 증산 결정이 내려진다 해도 50만배럴 정도의 증산으로는 올 겨울 난방유 부족사태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국제 원유 가격이 크게 오르고 미국과 유럽연합 등으로부터 유가 인하 압력이 제기됨에 따라 유가 결정권은 이제 석유전문가들보다는 정치 지도자들의 손에 넘겨졌다고 걸프협력회의( GCC)관계자가 지적했다.

그는 "미국과 유럽연합으로부터 산유국들에 대해 유가 인하 압력이 가해진 이후 유가가 급등, 정치지도자들로 하여금 어떤 결정을 내릴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우디 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연합, 오만, 카타르, 바레인 등 6개 GCC회원국 외무장관들은 이에 따라 1일 사우디 아라비아의 리야드에서 회담을 열어 석유가격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이 관리는 밝혔다.

이런 가운데 일부 서방 신문들은 최근 사우디 등 걸프국가들이 석유생산 문제를 중동평화협상에서 미국이 보이고 있는 친이스라엘적 태도에 대한 반대입장을 나타내기 위한 무기로 활용하고 있다고 보도한바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