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우방 계약자들 속탄다

우방부도 이후 대구·경북 7천여 가구의 우방 아파트 계약자들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으나 우방은 물론 대구시 등 관련 기관·단체들이 입주예정자협의회 결성지원 등 최소한의 대책조차 마련치 않고 있어 비난을 받고 있다부도 후 우방은 본사와 모델하우스, 공사현장을 폐쇄하는 바람에 계약자들이 문의 및 상담처를 찾지못해 애를 태우고 있다.

계약자들은 "대구시, 대한주택보증 등 관련 기관·단체에 피해 유무를 묻고 향후 대처방안 등을 상담하려 했으나 제대로 답변을 들을 수 있는데가 없다"며 이같은 비상사태에선 대구시 등 주체기관이 지정돼 사태해결시까지 임시창구를 마련, 조정·상담역할에 나서줘야 한다고 요구했다.

공사 중인 일부 아파트단지의 계약자들은 협의체를 구성해 공동대응할 계획이었으나 현재까지 우방의 무성의로 인해 입주자 명단조차 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김정길(35·대구시 남구 대명동·회사원)씨는 "계약자의 권리를 찾기 위해 모임을 결성하고 싶어도 계약자 명단조차 구하지 못해 답답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주택촉진법 시행규칙 22조에는 자치단체장 등은 시공사의 파산 등으로 공사가 중단될 경우 입주자대책회의 소집을 통보하고 대표회를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토록 돼 있음에도 대구시와 구청은 별다른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다.

대구시 건축주택과 관계자는 "수성팔레스를 제외한 다른 현장은 분양보증이 돼 있는 만큼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입주예정자대책회는 당사자들이 결성할 문제"라고 발뺌했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 관계자는 "계약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우방은 물론 대구시, 주택보증, 채권금융단, 법률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대책팀을 가동해 포괄적인 문제접근이 필요하다"며 "청구, 보성 부도 당시에도 이같은 초기 대응을 게을리하는 바람에 결국 피해가 늘어났다"고 지적했다.

金敎榮기자 kimky@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