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를 감소시키고 면역성을 떨어뜨린다는 환경호르몬으로부터 가족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스스로가 소비생활 유형을 바꾸는 등 적극 대처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이 제안하는 생활요령을 소개한다.
▲유기농산물을 먹자: 국내 추정 환경호르몬 67개 성분 중 농약이 41종이다.
▲아기에게 모유를 먹이자: 플라스틱 분유병은 환경호르몬 비스페놀A가 원료인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든다.
▲플라스틱 제품 사용을 줄이자: 플라스틱 용기에 뜨겁고 기름기 있는 음식을 담으면 환경호르몬이 나올 수 있다.
▲쓰레기 배출을 최소화하자: 플라스틱 쓰레기 등을 태우면 환경호르몬인 다이옥신이 나오고 산업폐기물 처리장의 침출수에서도 환경호르몬이 용출된다.
▲플라스틱 용기를 전자레인지에서 사용하지 말자: 컵라면을 전자레인지로 조리하지 말고 내부코팅제에서 비스페놀A가 나오는 음료수캔을 데워먹지 않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