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남북관계 이상기류 조짐

6·15공동선언 이후 급류를 타던 남북관계에 최근 이상조짐이 보이고 있다. 지난 2일 비전향 장기수 송환후 곧바로 열릴 것으로 기대됐던 2차 남북적십자 회담이 기약없이 연기되고 있으며 경의선철도 복원과 개성~문산간 새 도로 개설을 위해 우리측이 제의한 경협 실무자 접촉에 대해서도 북측은 묵묵부답이다.

이같은 북측의 무응답은 그동안 준비접촉 과정에서 양측이 수정제의 등을 통해 회담장소와 일정을 조정해온 관례를 깨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차 적십자회담의 추석전 개최는 끝내 불발로 그쳤으며 9월중 이산가족 추가상봉도 후보자 선정, 생사확인 작업 등의 일정을 감안할 경우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 정부의 대북 전략에도 차질을 빚게 됐다. 정부는 "2차 장관급 회담으로 남북 쌍방간의 공동이익을 위한 합의가 마련됐다"며 군사당국간 회담, 경협 제도화를 위한 실무협의, 임진강 수방대책, 백두산·한라산 교차관광을 위한 협의에 들어갈 방침이었다. 그러나 북측이 아무런 응답을 해오지 않으면서 이들 문제 해결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남북관계의 답보에 대해 정부측은 일단 북측이 숨고르기를 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북측이 숨가쁘게 돌아가던 남북관계 진전속도에 일단 제동을 건후 완급을 조절하려 한다는 것이다. 특히 비전향장기수 북송후 남북간에 현안으로 남아있는 문제중 면회소 설치문제나 군사직통전화 설치, 군 당국자간 회담 등은 북측으로서는 민감한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북측 내부에서 군부와 내각의 반대가 만만찮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북측의 이같은 태도가 오래갈 것 같지는 않다는게 대체적인 견해다. 당장 식량지원 문제를 매듭지어야 하는 북한 입장에서는 추석연휴를 보낸후 어떤 형태로든 답신을 보내올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李相坤기자 lees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