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은 역사적인 첫 국방장관회담을 오는 25.26일 이틀간 제주도에서 개최하기로 17일 최종 합의했다. 따라서 이번 회담에는 남측의 조성태(趙成台) 국방장관과, 북측의 김일철(金鎰喆.차수)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겸 인민무력부장을 각각 수석대표로 한 5명씩의 대표가 참가하게 된다.
김종환(金鍾煥.육군중장) 국방부정책보좌관은 이날 오후 국방부에서 공식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김 인민무력부장이 오전 군사정전위원회를 통해 답신을 보내와 우리측이 제의한 날짜와 대표단 구성을 수용하면서 회담장소를 제주도로 수정 제의했고, 우리측은 관계부처 협의결과 이를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 인민무력부장은 이날 답신을 통해 "력사적인 6.15 북남공동선언에서 합의한 두 최고수뇌부의 뜻을 받들고 이를 성실히 이행하기위해 남측에 가서 먼저 회담을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남북한은 그동안 제3국인 홍콩에서 국방장관회담을 여는 것을 깊이있게 검토했으나, 회담장과 숙소 문제 등 회담준비에 시간이 촉박한 점을 감안해 북측의 수정제의에 따라 회담장소를 제주도로 변경하기로 했다. 남북 양측은 조 장관과 김 인민무력부장을 각각 수석대표로 5명의 공식 대표단, 그리고 수행원 5명씩 등 모두 20명으로 대표단을 구성할 예정이다. 김 정책보좌관은 "우리측은 조 장관과 현역 3명, 타부처 인원 1명 등으로 대표단을 구성할 방침"이라고 했다. 현재 우리측 대표로는 조 장관과 김희상(金喜相.육군중장) 국방대총장, 김 정책보좌관, 김국헌(金國憲.육군준장) 국방부군비통제관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회담에서 북측은 신의주-서울간 철도(경의선) 연결과 개성-문산 사이의 도로개설에 따른 군사적 문제를, 남측은 이와 함께 군사직통전화 설치, 대규모 부대이동과 군사연습의 통보, 훈련 참관 등 군사적 신뢰구축 방안을 논의하자는 입장이다. 특히 남측은 이번 제주도 회담을 계기로 국방장관회담을 정례화시키는데 역점을 둘 방침이며, 2차 회담은 평양 등 북측지역에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남북 국방장관회담의 개최를 위한 실무적인 조율을 위해 남북은 이번주중 군사정전위 채널을 통해 접촉을 가지게 되며, 필요할 경우 남북장관급회담의 경우를 준용해 실무회담을 가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고위관계자는 "남북 국방장관회담은 한반도의 실질적 긴장완화와 냉전의 해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개최 자체가 큰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며 "처음부터 큰 기대를 하기보다는 실천가능한 문제부터 차분하게 협의하면서 군사당국간의 신뢰를 쌓아 나가는데 역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