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58차 문제 최우수작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배우는 것이 인간이라면, 학문을 하는 이유, 목적을 한번쯤 생각해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학문의 목적에 대해서 우리는 윤리적 목적으로, 실용적 목적으로, 기호적 목적으로, 진리 탐구를 위해서 등등 여러 가지가 있음을 학교에서 이미 배웠다. 우리가 배워 아는 바를 바탕으로 제시문에 실려 있는 학문하는 이유를 비판적으로 살펴 보고 나름대로의 학문하는 이유를 제시하고자 한다

.㈎에서는 '자신의 마음이 성인의 마음과 같지 않기 때문에 학문을 한다'고 학문하는 이유를 밝히고 있다. 이는 자기의 내면적 수양을 위해 학문을 한다는 입장이다. 인격함양에 초점을 맞춘 이러한 태도는 실용적 목적이 상대적으로 약할 수밖에 없다. 그렇게 되면 학문이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기회도 적어질 수밖에 없다. 현실과 연결되지 않는 학문은 외면당할 가능성이 크다.

㈏는 '즐거움, 장식, 능력을 위해 도움이 되니까 학문을 한다'는 태도를 취한다. 이는 학문의 개인적 효용을 상대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는 학문의 궁극적 목적이라 할 진리의 탐구나, 또 윤리적 목적인 인격 수양의 측면을 간과하기 쉬운 태도이다. 이러한 태도는 지나치게 자기중심적인 태도라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역시 사회에 대한 기여도도 떨어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태도이다.

㈐는 학문을 하는 이유가 합리적으로 사고하기 위한 것이라고 제시한다. 즉, 주술로부터 세계를 해방시키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을 살펴 보면 이러한 생각은 맞지 않는 것 같다. 종교가 번성하고, 사이비 종교까지도 사라지지 않는 현실을 생각해 보면 학문이 인간을 주술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은 아닌 것 같다.이상으로부터 학문하는 이유는 어느 한 가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인간 생활과 관련한 모든 국면을 진전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학문하는 목적은 다양한 이유들이 복합되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학문은 무엇보다도 진리 탐구를 목적으로 할 때 다른 부차적 목적들도 충족될 수 있다. 진리는 항상 인간 생활에 기여할 수 있는 가치로운 것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과 연구소의 연구실에서 학문하는 학자들의 생활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하겠다. 그 결과 인문과학은 개인적으로는 인격 수양의 목적 달성에 기여할 것이고, 나아가서는 개인과 사회가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하여 정신적 행복을 가져다 줄 것이다. 자연 과학은 생활을 윤택하게 하고 편리하게 해 준다. 우리의 의식주와 관련되는 학문이 그 예가 된다. 제시문의 내용들은 모두 학문을 하는 이유를 나름대로 타당하게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학문하는 이유를 특정의 방향에서만 이야기하고 있다. 학문하는 이유는 우리 생활과 관련하여 복합적인 목적을 갖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학문이 이루어질 때 그 학문도 진정한 가치를 발휘하게 될 것이다.

김 병 근

덕원고 3년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