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월드컵 경기장 대구대공원 활용 위해

대구종합경기장과 2010년까지 개발할 예정인 대구대공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수성구 고산지역의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를 대폭 해제, 주거지 등으로 개발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현재처럼 고산지역이 90% 이상 그린벨트로 묶인 상태에선 대구종합경기장을 건립하고 500여만평의 대구대공원에 3조원을 투입해봐야 수익성이 없다는 것이다.

경동정보대 곽구영 교수는 "대구시가 3천억원의 예산으로 대구종합경기장을 건설하고 향후 민간자본 3조원을 유치해 대구대공원을 개발한다는 계획은 주변 인구규모 등을 고려할 때 시설 활용성이 낮아 수익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곽 교수는 '대구월드컵경기장 건설의 비용.편익'이란 논문에서 "고산지역이 그린벨트로 묶인 상태에선 대구대공원 개발에 5천억원 이상 투자하면 수익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임야를 제외한 그린벨트는 주거 공간 등으로 최대한 활용, 시설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성구청도 이와 관련, 지난 8월 건교부와 대구시의 의뢰로 광역도시계획을 수립중인 국토연구원 및 대구경북개발연구원에 고산지역의 도시기본계획 재정비를 건의했다.

수성구청 관계자는 "월드컵경기장 시설의 활용도를 높이려면 내환.시지.연호.이천동 등 고산국도 인근의 그린벨트 해제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고산지역의 그린벨트는 전체 면적의 90%를 웃도는 3천433만2천49㎡로 이 중 임야는 60% 이상인 2천131만6천632㎡이다.

김교성기자 kgs@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