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준(32) 한국디지탈라인(KDL) 사장과 이경자(56) 동방금고 부회장 등을 고소한 평창정보통신 소액주주들은 26일 금융감독원이 오래전부터 정 사장의 불법대출과 관련한 일련의 사태를 파악하고 있었다고 주장, 금감원의 은폐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이들은 "KDL이 부도나기 전 금감원과 재경부에 모두 72억원의 피해사실을 신고했음에도 '장외주식이라 책임이 없으니 알아서 하라'는 답변을 들었으며 당시 금감원은 이미 불법대출 사실을 알고있는 분위기였다"면서 "경찰에도 정 사장 등을 고소했지만 소환에 3차례 불응한다는 이유로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소액주주들은 또 정 사장이 20개 계열사를 거느린 소그룹 회장 행세를 하면서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말했다.
정 사장은 최근 '디지탈홀딩스'라는 지주회사 설립을 추진하면서 디지탈임팩트, 스타돔엔터테인먼트 외에도 K일보, G백화점, G커뮤니케이션 등 20개 계열사 이름이 새겨진 명함을 갖고 다니면서 투자자들을 모집했다는 것.
디지탈홀딩스에는 400억원대 자금이 유치됐는데 투자자 중에는 정 사장과 거래하는 은행임직원, K대 86학번 동기 등도 포함됐고 은행 임직원들은 3억∼4억원씩 투자했으며 심지어 디지탈라인의 사무실이 들어있는 건물의 한 경비원도 수억원이물렸다고 이들은 전했다.
이들은 교육자인 정 사장의 아버지가 최근 서울 모호텔에서 한 소액주주를 만나"강모.이모씨 등 사채업자들에게 고리로 400억원을 물려 자금압박을 받고 있다"며 "국세청에 고발하면 강씨 등이 세금을 물어야 할 형편이니 이들과 얘기를 잘해 돈을 받아내서 돈을 갚겠다"고 말했다고 주장했다.
정 사장은 또 KDL을 인수한 뒤 전환사채를 5차례나 발행했는데 1천원에 발행한 사채가 3만~4만원이 되면서 정 사장은 1천43억원의 차익을 챙겼고, 이 과정에서 사채업자들로부터 에쿠스 승용차를 8대나 받기도 했다는 것.
평창정보통신 소액주주 가운데는 미국 유학을 다녀와 알타비스타를 잘 아는 유학생이나 업계 관계자들도 있었지만 이들마저도 평창정보통신이 알타비스타로부터 계약해지 통보를 받은 뒤에도 정 사장에게 속아 넘어갔다고 주주들은 전했다.
또 이들은 정 사장이 한때 몸담았던 벤처기업 H사에서 근무할 당시부터 벤처 M&A를 위해서는 사채자금을 끌어들여야 한다는 지론을 펴왔으나 결국 사채자금 때문에 몰락하게 됐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들은 정 사장과 관계있는 것으로 보이는 C사 주주명단에 한모씨 등 사채업자들이 대거 포함돼 있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