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上下가 따로 노는 통일부

금융구조조정과 관련 최근 정부가 발표한 지역소재 영남종금의 통합 등을 내용으로 하는 종금사 발전방안은 취약한 대구지역 금융의 성쇠를 좌우할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방안은 정상 영업중인 대구에 본사가 있는 영남종금과 부실종금사로 인정되어 영업정지중인 한스.한국.중앙 등 3개종금을 통합해 올 연말을 전후해 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로 편입시킨다는 것이다. 그럴 경우 통합종금의 본사는 대상 4개종금사 가운데 유일하게 영업을 하고 있는 영남종금을 기준으로 한다면 대구에 둘 가능성이 높으나 통합대상의 수적인 우세를 기준으로 한다면 서울로 갈 가능성이 크다.

이같이 통합종금 발족과 더불어 본사를 어디에 둘 것인지에 대해 대구지역주민들과 경제계가 비상한 관심을 가지고 본사의 대구유치를 청와대를 비롯 관계요로에 강력히 요청하는 것은 이 문제가 지역경제회생에 핵심과제의 하나가 되기 때문이다. 대구지역경제는 이미 알려져 있듯이 전국적으로 경기가 상승국면을 보인 것과는 대조적으로 최악의 상황이었던 외환위기 직후보다 더 나빠졌다. 이는 산업구조의 낙후에 겹쳐 산업에 수혈기능을 하는 금융인프라가 극도로 취약해진데도 원인이 있다. 지역에는 IMF사태이후 대동은행을 비롯 경일종금, 대구종금, 대구리스, 대동리스, 조선생명 등 대구에 본사를 둔 6개 금융기관이 퇴출되는 바람에 지역금융이 크게 위축된 상태다. 그나마 종금사로는 유일하게 영남종금이 살아남았으나 지난 5월 대우사태 등으로 3개월 영업정지를 받고 이제 겨우 영업을 시작하고 있는 판에 또 통합의 문제에 부딪힌 것이다.

중앙에선 굳이 금융기관의 본사가 대구에 있어야하는지를 물을 수 있을지모르나 지역경제계로서는 본사의 역외 소재가 역내에서 조성된 자금의 역외유출 심화 가능성을 높이고 자금지원의 어려움을 초래한다는 것을 체험적으로 알고 있다. 이같은 사정은 벌써 외환위기이후 지역금융기관의 대거 퇴출이후 심각하게 겪고 있는 실정이다. 지방시대를 맞아 중앙부처의 지방이전은 고사하고 금융기관 본사마저 지방소재를 기피한다면 지방붕괴는 피할 수 없다.

정부가 통합종금사의 본사대구유치를 검토한다는 소식은 다행스럽게 여겨진다. 지역산업의 금융지원인프라가 더이상 쇠퇴한다면 지역경제의 회생은 갈수록 어렵다. 통합종금사의 본사를 대구에 두는 것도 지방붕괴를 막는 하나의 길이다. 통합종금사의 본사를 대구에 두지 못한다면 영남종금을 현재대로 두는 것이 지방민의 바람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