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역감정 정치인·언론 책임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2일 지역감정 문제에 대해 전례없이 강도높은 어조로 정치인들의 책임을 질타했다.

김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울산시청의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지역감정 해소의) 최대 장애물은 정치인"이라고 규정했다.

특히 김 대통령은 "지역감정을 정치인들이 선거에 악용해서 거짓말로 선동하고있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하고, 아울러 이를 선정적으로 보도하고 있는 언론이 지역감정과 국민위화감을 조성시키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국민이 심판해야 한다"고까지 말했다.

김 대통령은 노벨 평화상 수상 발표 이후 향후 국정운영 구상으로 '국민대화합'을 가장 우위에 두었을 만큼 지역화합을 국정운영의 큰 과제로 여겨왔다.

더욱이 지난달 28일 대구·경북을 방문한 뒤 1일 무역·투자 진흥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일부 언론이 '대구에는 추석이 없다'고 보도했었지만 막상 가서 보니 백화점과 대형 할인시장 매출이 늘고 재래시장 매출이 줄어든 것은 다른 지역이나 마찬가지였다"며 지역경제문제는 그 지역의 경제구조와 관련된 것일 뿐 중앙정부의 차별적 지원 때문이 아님을 강조하기도 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최근 지역경제 사정이 악화되고 있는 것조차도 지역감정과 연관시키고 있는 일부 정치인과 언론에 대해 김 대통령이 흉중의 얘기를 털어놓은 것 같다"고 말했다.

이는 반(反) DJ 정서가 강한 지역에서는 되도록 지역감정 발언을 자제해온 과거의 태도와는 다른 것이어서 김 대통령이 지역감정 해소를 위해 공격적 전략을 택한 게 아니냐는 해석마저 나오고 있다.

단순한 어루만지기식으로는 오히려 감정의 골이 더욱 깊어지고 있기 때문에 환부를 노골적으로 드러내 이를 치유하는 방법으로 선회한 것이 아니냐는 시각인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