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 어떤 특정 상대에 대한 비방과 조롱을 늘어놓는 랩의 한 가지를 디스랩이라 하고, 특정 대상에 대한 반대의사 표현을 목적으로 개설한 사이트를 안티사이트라 한다. 아래 제시문은 어느 일간지에 실린 칼럼의 일부에서 발췌한 것으로, 디스랩과 안티사이트에 대한 내용이다. 제시문을 읽어보고 우리 사회의 비판문화의 활성화라는 관점에서 디스랩과 안티사이트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논술하시오.10년 전과 현재의 음악이 크게 달라지게 된 계기를 세 가지만 꼽으라면 개인적으로는 온라인의 활성화.마니아 문화.미디 작업이 떠오른다. 이 세 가지는 음악을 만드는 방법에서부터 그 작품이 대중에게 알려지고 소비되고 평가받는 일련의 과정을 크게 변화시킨 '사건'이라 할 만하다.
이러한 현상이 너무 활성화되어 이제는 극한으로 치닫고 있다는 느낌을 받곤 하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디스랩과 안티사이트이다. 이것들은 어떻게 보면 통신과 마니아 문화의 개인주의적 분위기가 낳은 양식인데 이를 놓고 찬반 양론을 벌이는 사람들 역시 온라인 상의 네티즌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꽤 아이러니컬한 상황이기도 하다.
디스랩은 디스리스펙트 랩의 줄임말로 어떤 특정 상대에 대한 비방과 조롱을 늘어놓는 랩의 한 패턴이다. 이 스타일은 미국의 유명 힙합 뮤지션들이 소재의 다양성을 위해 개인적인 원한이나 상대에 대한 불만을 늘어놓는 것에서부터 발단됐다. 엘엘 쿨 제이, 캐니버스, 퓨지스, 투 팍, 노터리어스 비아이지 등 유명 랩 뮤지션들의 앨범에서 디스랩 한두 곡쯤 만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남의 나라 얘기처럼 들리던 디스랩이 최근 들어 국내 마니아들에게 큰 관심을 모으게 된 동기는 거침없는 입담을 보여주는 에미넴이 최고의 스타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디스랩이나 상대방에 대한 직접적 비방이 앨범 수록곡이나 언론매체 인터뷰를 통해 이뤄지는 외국에 비해 국내에서는 유독 통신·인터넷을 통해서만 쏟아져 나오고 있다.
게다가 나름대로 활동을 해왔거나 알려져 있는 뮤지션이 발표하는 곡들이 아닌 순수 아마추어나 무명 뮤지션들의 곡이 대부분이다. 음악과 상관없이 인신공격에 가까운 랩이 떠돌아다닐 뿐 아니라 유명한 뮤지션을 비난해 사람의 이목을 끌어보려는 수작이 아니냐는 비평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익명성을 장점(혹은 단점)으로 하는 온라인의 생리를 잘 이용한 모습은 인터넷 상의 안티사이트에서도 찾을 수 있다. 안티사이트는 안티 서태지 사이트를 다시 안티 하는 사이트가 생겼을 정도로 그 숫자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안티들의 활동 이유는 서로 분분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안티사이트가 본래의 역할에서 그치지 않고 원색적인 용어와 내용으로 상대방의 명예를 훼손한다는 사실에 있다. 〈하략〉
▨응모요령
글의 길이는 빈칸을 포함하여 1,500자 안팎(±150)이 되게 할 것.제목을 쓰지 말고 본문부터 시작할 것.
원고마감 일자 : 11월 11일(토요일)우편으로 응모할 경우 봉투 겉면에'제64차 학생 논술 응모'라고 반드시 쓸 것.
주 소 :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 2가 71 매일신문 논술 담당자 앞 (우) 700 - 71대구광역시 중구 삼덕동 166 일신학원 논술 담당자 앞 (우) 700 - 412 학교와 학년, 집 전화번호를 밝힐 것.
당선작은 본지에 강평과 함께 게재.(상장과 부상은 학교로 우송함)
※ 인터넷으로도 원고를 접수합니다.
매일신문 - kjk@imaeil.com
일신학원 - ilsin@ilsin.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