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순수한 삶으로의 갈망 서종택 시인 등단 25년만에 첫 시집내

시인 서종택(51)씨가 등단 25년만에 침묵을 깨고 첫 시집을 펴냈다. '보물찾기'(시와시학사 펴냄)는 대구시인협회장까지 지낸 그가 오랜 세월을 견디며 마침내 거둬들인 첫 결실이다. 등단하자마자 시집을 내고 해마다 한 권씩 보태는 솔가운 현실에서 시인이 이토록 오래동안 마음의 빗장을 걸어둔 이유는 시에 대해 엄격한 자세를 지키려는 결벽증에 가까운 시인의 문학정신 때문일지도 모른다.

첫 시집에 담긴 60편의 작품은 그의 이런 순정한 정신을 반영하고 있다. 서정으로 고이 감싼 자기반성과 순수와 소박한 삶에의 갈망이라는 독백이 독자에게 아름다운 울림으로 다가온다. "평생 한 번도/바람에 거슬러 본 적 없었다/발목이 흙에 붙잡혀/한 발자국도 옮겨보지 못했다/눈이 낮아/하늘 한 번 쳐다보지 못했다/발바닥 밑 세상도 생각하지 못했다/그러나 내 마음속에/너무나 많은 움직임이 있었으므로/참, 모질게도, 나는 살았다"('풀')

시인은 온갖 탐욕과 광물성으로 뒤덮인 세상에 등돌리고 서 있다. 비록 펴지지 않고 구부러진 것, 바로 가지 않고 돌아가는 것이지만 순수한 식물성의 세계를 그윽한 눈길로 바라본다. 그가 바라는 삶은 자기의 이익을 위해 남을 없애는 직선의 삶이 아니라 곡선의 삶, 구부러진 삶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시인은 '쓸쓸한 날 오르려고 구부러진 산길을 만들기'도 하고, '내가 가진 체온을 모두 버려서 세상 추위 한 부분을 헤쳐 놓기'도 한다.

그의 시는 고독하고 쓸쓸함에 때로 가슴 낮아지기도 하지만 '흙 묻은 신발 벗고 당신 만나러 갈 때 맨발에 닿는 감촉 꿈만 같다'는 시인의 독백처럼 우리들의 삶에 조용한 반성과 안식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고 있다.

서종철기자 kyo425@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