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불황의 두 그림자-죽어가는 노숙자

노숙자들이 차가운 밤거리에서 죽어가고 있다.지난 21일 오전 7시쯤 대구시 북구 칠성동 모 가구사앞. 김모(53)씨가 섀시문에 기대어 싸늘하게 숨져 있었다. 10여년전 집에서 나와 칠성동 가구골목 일대에서 노숙 생활을 해온 김씨는 이날 술을 마신 채 잠을 자다 추위를 이기지 못하고 숨을 거뒀다.

다음날 오전 6시30분쯤 북구 칠성동 지하철 대구역 광장 옆 공터에서 또 한사람의 노숙자가 신음을 하며 죽어가고 있었다. 혼신의 힘을 다해 지나가던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 119구급대를 불렀지만 끝내 숨지고 말았다.

현재 대구의 거리노숙자는 100여명. 이들은 대부분 역대합실, 시내 심야만화방 등지에서 잠자리를 해결하고 있지만, 지하철역 광장이나 공원 등지에서 잠을 자는 노숙자들도 20~30여명에 이른다.

이들은 지하철 대구역 광장에 텐트를 치거나 지하철역 주변 구석이나 경상감영공원 화장실 뒤편 등지에서 이불 한 장에 몸을 맡기고 있는 데다 대부분 추위를 이기기 위해 술을 마시고 잠들기 때문에 동사할 위험성이 높다.

거리노숙자 종합지원센터(북구 칠성동) 박남현(34) 소장은 "불경기에다 건설 공사가 없는 겨울철까지 겹쳐 새로운 노숙자가 계속 생겨나고 있다"며 "노숙자들에게 미처 겨울을 대비하지 못하는 11월과 꽃샘추위가 기승을 부리는 2, 3월이 가장 위험한 시기"라고 말했다.

추위를 견디다 못해 쉼터나 쪽방으로 들어가는 노숙자도 적지 않다. 280명이 정원인 5개 쉼터의 경우 최근 20여명이 늘었지만 아직 80여명의 자리가 남아 있고 달성공원, 경상감영공원, 칠성시장, 대현동 부근의 반평크기의 속칭 '쪽방'에서 생활하고 있는 노숙자도 250여명에 이르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지난 13일부터 월동기 노숙자 보호상담실을 운영, 노숙자 지역에서 정기적으로 순찰을 돌며 상담 및 쉼터로 갈 것을 권유하고 있지만 취침, 기상시간이나 음주금지 등 통제 사항 때문에 거부하는 사람이 많다"고 밝혔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