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무인경비업체 고객에 '덤터기'

일부 무인경비업체가 경찰의 출동협조가 이뤄지지 않아 인력충원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최근 경비서비스료를 2배가량 올려 고객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대구지역 13개 무인경비업체는 그동안 금융기관, 상가, 가정집 등을 대상으로 무인경비시스템을 설치해주고 매월 2만~7만원 가량의 경비서비스료를 받고 있다.

이중 텔레캅, 가나다전자, 조아전자 등 3개업체는 경찰의 컴퓨터자동신고망의 협조로 무인경비시스템 작동시 경찰과 동시 출동할 수 있는 혜택을 받아왔다.

그러나 절도, 무단침입 등을 제외한 오작동이나 고장으로 인한 경비시스템 작동시에도 불필요한 경찰병력이 출동해 인력손실을 빚자 경찰은 올 연말까지 금융기관 등 주요시설을 제외한 경찰 컴퓨터자동신고망을 철거키로 했다.

이와 관련, 금융기관을 주대상으로 한 조아전자와 달성지역에 기반을 둔 가나다전자는 경찰시스템 변경을 수용하고 있으나 텔레캅의 경우 경찰시스템 변경에 따른 부담을 고객들에게 떠넘기고 있다.

한국통신 자회사인 텔레캅특수사업부는 지난 8월부터 신규가입자에 대해 기존 2만7천~3만원이던 경비서비스료를 5만4천~6만원으로 두배 가량 올렸으며 기존 가입자중 보석상 300여개 점포에 대해서도 최근 인상가격을 적용했다. 또 내년부터 일반 사무실과 가정 등 6천여 가입자에게도 인상가격을 적용할 방침이다.

텔레캅 가입자인 김모(47)씨는 "한국통신이 '경찰 동시출동'이란 홍보로 엄청난 가입자를 모아 이익을 챙긴 뒤 경찰협조가 이뤄지지 않자 소비자 부담으로 떠넘기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텔레캅 관계자는 "경찰 동시출동의 혜택이 없어져 인력충원이 불가피해 그동안 상대적으로 저렴했던 서비스료를 대폭 인상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병구기자 kbg@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