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권 민주당 대표를 '기회주의자'라며 당 지도부에 불만을 토로했던 노무현 해양수산부장관이 23일 "당과 대통령에게 죄송스럽다"며 사과한 이후 김 대표 체제를 둘러싼 여권내 분란이 수습단계에 들어갔다.
그러나 '영남적자론'을 둘러싼 김 대표와 노 장관 양자간 갈등이 해소되지 않고 있는데다 노 장관이 발언 진의에 대해서는 사과하지 않아 내분의 여진은 여전히 남아 있다.
노 장관은 사과성명에서 "사석에서 비보도를 전제로 한 얘기가 언론에 보도돼 당이 내분에 처한 것처럼 비쳐진데 대해 당과 대통령에게 대단히 죄송스럽다"고 밝혔다.
노 장관은 또 "여러 생각을 가질 수 있으나 양보.타협하면서 조화를 이루는 것이 도리"라며 "대통령께서 대표를 지명한 이상 대표를 중심으로 당의 단합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김 대표도 다음날 "실수한 것을 자꾸 문제삼으면 안된다"며 더이상 노 장관의 발언을 문제삼지 않을 뜻을 내비쳤고 박상규 사무총장은 "이제 공은 청와대로 넘어간 만큼 당에서는 거론하지 않는 게 좋겠다"며 당 지도부의 분위기를 전했다.
노 장관의 사과에 대해 여권에서는 "당 안팎의 전방위 설득과 압력을 받아 들일 수 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노 장관의 발언이 공개되자 "장관직을 물러나게 하자" "임명권자(김대중 대통령)에 대한 중대한 도전행위" "애당심이 있다면 할 수 없는 행동"이라는 등 당 안팎의 비난이 상상외로 컸던데다 청와대에서도 '경고'의 뜻을 비췄기 때문이다.
하지만 같은 영남 출신인 김 대표와 노 장관의 갈등은 언제든 불거져 나올 개연성이 크다. 여권 내부의 분석처럼 노 장관의 사과성명은 자의적이기 보다 청와대와 당 지도부의 압력에 의한 타의적 성격이 짙기 때문이다.
노 장관도 발언의 핵심인 '기회주의자 운운' 에 대해서는 취소하지 않은 채 진의에 대해서도 뚜렷한 입장표명을 않고 있다.여권의 한 관계자는 "대권을 의식한 양자간 경쟁은 피할 수 없는 처지"라며 "향후 대권에 대한 논의가 일기 시작하면 양자간 경쟁도 뚜렷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민주당 체질개선 '잘될까'계보없애고 기업마인드 도입
민주당이 체질개선에 나섰다. 김중권 대표가 '공동 리더십'을 내세운데다 박상규 사무총장과 남궁석 정책위의장은 '당 운영에서의 기업 마인드 도입'을 강조하고 있다. 당 운영을 1인 체제에서 다수가 참여하는 민주적 방식으로 전환하는 한편 비효율적인 겉치레를 지양하겠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24일 기자간담회에서 "지시일변도 보다는 공존의 리더십이 필요하다"며 민주적 운영을 통한 '힘있는 당'의 모습을 역설했다. 김 대표의 발언은 과거 동교동계 중심의 획일적인 당 운영이나 막후 정치에서 벗어나 민주적 의견수렴 과정에 충실하겠다는 뜻이다.
지난 23일 고위당직자 회의 때 정책.입법활동에 있어 정부가 사실상 주도해온 당정조율에서 탈피, "당이 주도권을 갖자"고 강조한 것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
박 총장과 남 의장도 당 운영의 능률화와 과거와의 차별화를 강조했다. 박 총장은 24일 "기업은 경쟁에서 탈락하면 도태되는데 정당도 마찬가지"라면서 "총장실에 처음 들어가 보니 메모지도 없던데 기업이라면 있을 수 없는 일" 이라고 지적했다.
듣기에 따라서는 전직 총장들의 나태함을 꼬집는 말처럼 들리지만 당 관계자들은 "지도부의 당풍쇄신 의지를 강조한 발언" 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남궁 의장 역시 "사무실이 너무 넓고 일하는 자세가 콤팩트하지 못한 것 같다"며 "작은 조직이 많은 일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당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거들었다.
그는 또 "(기업에 있을 때) 가장 일찍 출근하고 가장 늦게 퇴근하는 자세와 쓰레기를 치우고 구석진 곳을 살피는 노력을 통해 화합을 만들어내고, 회사를 변화시킬 수 있었다"고 경험담을 털어놓았다. 박 총장은 중소기업중앙회장을 역임한 기업오너 출신이고 남궁 의장 역시 삼성SDS 사장을 지냈다.
김 대표를 포함한 신임 당직자들이 당 쇄신과 체질개선을 강조하고 나서자 중하위 당직자와 사무처 직원들도 긴장하고 있다. 이들은 특히 지도부가 중하위 당직 개편때 계파안배 대신 전문 실무능력을 중시하겠다고 밝히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당의 한 관계자는 "김 대표가 민주당을 여당 체질로 바꾸겠다고 천명한 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고 밝혔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