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년 신춘문예는 예선을 거쳐 올라온 작품의 양으로 보면 어느 해보다 풍성했지만 질은 그런 양을 따르지 못한 것 같다.
다행히도 김신우의 '면역기'같은 작품이 있어 두 심사위원이 당선을 합의하는 데는 어려움이 없었다. '면역기'는 작가가 밝힌 나이가 의심스러울 정도로 세상을 보는 눈이 어른스럽고 문장도 메끄럽다. 한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주인공의 등에 난 상처가 그토록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삶과의 구체적인 관련이 드러나 있지 않은 점이다.
'면역기' 다음으로 주목했던 작품은 '모래늪'이었다. '모래늪'은 소설적 이야기로는 가장 진진하고 작가가 품은 열정도 잘 전해진다. 이야기가 소설의 본질이냐 아니냐는 논자에 따라 다를 수도 있지만, 요즘 들어서는 너무 무시되는 경향이 있어 이 작품이 귀하게 읽혀졌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야기의 틀이 다소 낡았고, 전개도 상식적인 인과관계를 과대포장한 느낌이 든다.
'어머니처럼 가르쳐 주는 요리대백과 사전'은 재미있는 발상이지만 주인공의 일상과 요리 사이에 긴밀한 연결이 없어 두 개의 주제가 서로 겉도는 듯하다. 따라서 결말은 힘이 없고 한 완결된 작품을 읽었다는 인상을 주지 못했다. '탑'은 모든 게 그만그만하게 읽을 만했다. 하지만 다른 작품을 제치고 드러날 만큼 비교우위를 보여주지는 못했다. 거기다가 책을 꼭 활자를 달리하는 '서'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는 점이 끝내 이해되지 않고 거슬리기만 했다.
김원우 소설가.계명대 교수
이문열 소설가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