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오늘의 포커스-북 장관급회담 연기 배경

13일 갖기로 한 남북 제5차 장관급 회담이 북측의 요청으로 연기됨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날 회담 연기 사실은 이한동 국무총리가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2여 국정협의회에서 처음으로 언급함으로써 공개됐다. 이 총리는 이 자리에서 "북측 요청에 따라 회담이 연기됐다"고만 밝혔다. 이에 따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서울답방과 군사적 긴장완화 방안 등을 협의하기로 했던 우리측 회담의도는 수포로 돌아가게 됐다. 또 북측의 일방적인 회담연기로 향후 남북관계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북측의 회담 연기요청 의도는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일단 한미 정상회담 후 북미관계의 변화가 주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부시 행정부의 부정적인 대북관이 재확인된 만큼 북측 나름대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시간벌기에 나설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때문에 북측의 일방적인 회담연기는 남측을 겨냥했다기 보다 미국을 겨냥한 측면이 강한 것으로 북한 전문가들은 관측했다. 즉 미국이 북한에 대한 보수 강경입장 표방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에 대한 항의의 뜻으로 회담연기를 일방적으로 요청했다는 것이다. 특히 이같은 회담 연기는 북한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이 "북한이 침략을 당할 경우 남한뿐 아니라 오키나와, 괌 등 미군기지도 반격을 당할 것"이라는 내용의 기관지 내용을 공개한 것과도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이와 함께 한미 정상회담에서 김대중 대통령이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 미국측 입장에 일방적으로 끌려갔다는 판단에 따른 불만 표출로도 보여진다.

정부는 이에 따라 북측이 회담을 연기한 배경에 대해 다각도로 확인작업을 벌이는 등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한편 당초 남북은 13일부터 3박4일 동안 서울 신라호텔에서 남북 제5차 장관급 회담을 갖고 김정일 위원장의 서울답방, 면회소 설치 등 이산가족 문제 제도화, 군사적 긴장완화방안, 사회문화경제 교류협력 활성화 문제 등을 협의하기로 했었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