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내 꿈에도
낯선 땅 어디 잡초더미로 눕지 않으리
저문 날 다시 가야산에 올라
눈가루로 흩어지리
그리하여 좋은 새봄에, 작고 풋풋한 것으로 다시 오리
2
내 시 외에 아무것도 돌에 새기지 말 것
내 삶은 거기서 끝나리
흙에서 숨 얻어 새끼 낳고
사람같은 사람 몇 만나고
술 마시고
서정시 몇 편 쓰고
어머니 곁으로 돌아간다면
-배창환 '저문 날 가야산에 올라'
가야산이 낳은 시인의 귀거래사이다. 산은 시인을 낳고 시인은 다시 시로써 산을 갱신한다. 인간과 자연의 온전한 융합, 이것은 근대 이후 인간들에게는 최고의 유토피아적 경지이다. '흙에서 숨 얻어 새끼 낳고/사람 같은 사람 몇 만나고/술 마시고/서정시 몇 편 쓰고/어머니 곁으로 돌아'가는 삶이란 얼마나 아름답고 행복한 삶이랴. 나도 이런 삶을 정말이지 너무나 살고 싶다. 김용락〈시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