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공(犬公)들의 전성시대' 애완동물협회에 따르면 현재 대구지역 애견업체는 90개 이상으로 2년전 50여개에 비해 크게 늘었다. 중구 반월당 일대 10여개 애견업체 경우 가게마다 하루 평균 2, 3마리의 애견이 팔리면서 지난해에 비해 판매량이 50%정도 증가했다. 말티즈, 푸들, 요크셔테리어, 시즈, 포메라니안, 코커, 스나우저, 닥스훈트, 달마시안 등 30여종에 이르는 애완 강아지 값 또한 지난해말 20만원에서 40만원으로 뛰었다. 최근 중고생들 사이에 일고 있는 붐 때문이다.
샴푸, 린스, 용변가리개, 사료, 영양이유식, 향수, 스프레이, 치약, 칫솔, 귀세정제, 암캐생리대, 옷, 신발 등 애완견 관련 상품도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박모(54.대구시 동구 용계동)씨는 "30만원을 주고 산 애완견이 1년만에 새끼를 6마리 낳아 210만원을 벌어 줬다"며 "앞으로 암캐 한마리를 더 키울 생각"이라고 했다.
한편 광우병과 구제역 여파로 보신탕용 개값도 뛰어오르고 있다. 구미에서 개를 사육하고 있는 김모(55.구미시 산동면)씨는 "지난달 7만원이던 식용 강아지가 지금은 12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여름이 다가오면서 값이 더 뛸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대구 ㅎ애견사 홍모씨는 "도산위기인 소 돼지 사육 농가들이 개 사육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말했다.
모현철기자 mohc@imaeil.com
정욱진기자 pencho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