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정부가 발표한 e-비즈니스 확산 국가전략은 한마디로 'e-트랜스포메이션(e-Transformation)으로 요약된다.
e-비즈니스 인프라의 기초를 다지는 데서 한단계 더 나아가 기존 산업에 '착근(着根)'시키고 확산시킨다는 개념이다. 즉 설계.조달.생산.판매.고객관리 등 기업활동 전반을 e-비즈니스화로 체질개선을 유도, 새로운 부가가치와 생산성을 창출하자는 것이다. 산자부 관계자는 "국내 e-비즈니스 분야가 급격한 외형성장을 거듭하면서도 정작 기존산업의 강점과의 접목에 실패, 성장동인으로 자리매김하지 못하고 있는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e-비즈니스 '외환내빈'=국내 e-비즈니스 인프라는 이미 선진국 수준에 와 있다. 97년 160만명에 불과하던 인터넷 이용자는 작년 1천904만명으로 급증했고 광케이블도 144개 전국 주요지역에 구축돼 있다. 대기업을 주축으로 한 e-비즈니스 투자 역시 갈수록 늘고 있다. 주요 200대 기업의 올해 e-비즈니스 투자는 2조8천억원으로 작년 대비 27%의 증가율로 세계 평균치(9%)를 크게 웃돌고 있다.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99년 9조원에서 올해 30조원으로 초고속 성장을 자랑하고 있다.
그러나 외형성장과는 달리 실제 산업 활용도는 선진국보다 2, 3년 뒤떨어져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일례로 세계 선두그룹인 국내 전자 등 6대 핵심산업의 전자거래비율은 4%로 미국의 6%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이는 국내기업이 e-비즈니스를 기업활동 프로세스 등 체질개선에 활용하지 않고 오히려 새로운 수익모델에만 관심을 갖는 이른바 'e-비즈니스 착시현상'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기업간 협업부족 △투자여력 부족 △불투명한 거래관행 △표준화.결제시스템 취약 등도 큰 원인이다. 99년말부터 추진된 업종별 B2B(기업간 상거래)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는 것이 단적인 예다. 전업종에 걸쳐 200여개의 e-마켓플레이스가 출현했지만 운영조차 안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간 'IT 후진국'이라는 오명을 듣던 일본도 미국에 뒤질세라 e-트랜스포메이션을 골자로 한 e-재팬 전략을 수립했다.
◇e-비즈니스 국가전략 내용=작년 2월 발표된 '전자상거래 활성화 종합대책'이 법.제도.인프라 구축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 전략은 기존산업과 e-비즈니스의 접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설계.조달.생산.판매 등 기업활동 프로세스를 e-비즈니스화한다는 것이다. 핵심줄기는 전자 등 6대 핵심산업과 중소기업으로 나뉜다. 이미 e-비즈니스 성장모델 중 초보단계를 벗어난 전자 등 6대 핵심산업은 2003년까지 전자거래비율을 선진국 수준인 15% 이상으로 끌어올리면서 전체 산업의 e-비즈니스화를 견인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중소기업의 e-비즈니스화는 저변확대 차원에 의미를 둘 수있다. 중소기업은 올들어 1만개 IT화사업이 큰 호응을 보임에 따라 2003년까지 3만개로 확대된다. 공공부문의 선도적 역할도 빼놓을 수 없다는 것이 이번 전략의 포인트다. 전자조달.결제시스템을 2003년까지 완성해 조달에 참여한 기업과 업종의 e-비즈니스화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관계부처 협의기구를 산자부 장관이 주재하는 전자거래정책심의회로 격상시킨 것은 정부의 e-비즈니스 정책역량을 강화시키겠다는 의미다.
◇기대효과=작년말 현재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7조원, GDP 대비 전자상거래 비중은 3.2%다. 그러나 이번 전략이 차질없이 완수된다면 2003년 시장규모가 100조원 이상, 전자상거래 비중이 15% 이상으로 올라가 세계 선두그룹에 낄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이 경우 매년 GDP의 0.87%인 4조2천억원의 추가적인 부가가치창출과 연평균 0.2~0.4%의 물가하락, 연간 50조원 이상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