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금강산 관광 육로만으론 안된다

위기에 빠진 금강산 관광사업이 타개될 실마리가 보이고 있다. 북한은 현대가 올들어 송금을 미뤄온 관광대가를 해결해 줄 경우 육로 관광 허용과 관광 특구 지정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우리 측에 전해왔다. 이와 관련, 오늘로 예정돼 있는 현대와 북한측의 금강산 현지 협상이 관심을 모은다. 이번 협상은 지난달 정몽헌 현대아산 회장과 김윤규 사장이 평양을 방문했을때 제시한 금강산 관광 활성화 방안에 대해 북한측이 협의하자는 연락을 해와 이뤄진다. 그러나 여권 고위 관계자가 미납금 문제와 관련해 정부와 현대아산 사이에 모종의 해결 방안을 마련했음을 시사해 협상 결과가 주목된다.

최근 정부 여권 관계자들은 종전의 '정경분리'방침에서 벗어나 '금강산 살리기'에 적극 개입할 의사를 밝혀왔다. "육로 관광이 가능해지고 수익성이 보장될 경우 참여를 원하는 기업들이 나올 것이며, 그러면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을 계속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데서 그같은 의지의 일단을 읽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업인 담배인삼공사, 관광공사와 민간기업인 롯데 등이 거론됐고 남북협력기금의 금강산 사업 지원 방안이 나오기도 했다.

우리는 여기서 금강산 사업의 특수성과 민간기업의 한계를 감안, 정부가 개입하더라도 기존의 '퍼주기식' 대북사업처럼 일방적인 손해를 보면서 강행하는 것은 무모한 처사라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남북화해와 협력이라는 대의를 깔고 있다 하더라도 사업의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으면 현대그룹의 예에서 보듯 파탄의 길을 걸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우리는 금강산 사업의 존속과 관련, 북한측에도 남북화해의 대승적 견지에서 눈 앞의 이익만 좇지 말고 성의있는 결단을 내려줄 것을 촉구한다. 금강산 관광사업은 협상 여하에 따라 북.미관계 악화로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는 남북관계에 새로운 돌파구를 여는 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쌍방이 '윈윈'하는 최선의 결과를 도출하기를 기대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