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0년 4대 국회에서 6.25 전쟁을 전후해 군과 경찰에 의한 양민학살 사건을 현지 조사한 보고서가 피해자 명부와 함께 국회 의안과 지하문서고에 방치돼 있다 40여년만에 발굴됐다.
이에 따라 최근 유족회와 학계 및 시민단체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 활동이 중요한 전기를 맞을 것으로 보이며, 국회와 정부차원의 더욱 적극적인 진상규명 작업을 요구하는 여론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 전갑길 의원은 국회 사회.문화분야 대정부질문에 앞서 11일 제4대 국회 본회의(민의원) 결의에 따라 구성된 양민학살사건 진상조사특별위원회(위원장 최천)가 60년 5월31일부터 6월10일까지 11일간 학살사건 현장에 조사단을 파견해 활동한 결과를 토대로 작성한 '양민학살사건 진상조사보고서'와 이에 첨부된 학살자 명부 및 '양민학살사건 진상조사위원회 속기록'을 공개했다.
보고서는 경남북과 전남북 및 제주도 등 5개도, 42개지역에서 조사한 결과 '공산괴뢰에 악질적으로 협력한 민간인으로서 군 작전상 부득이 살해한 자'를 제외한 '순수양민' 피해자만도 △경남 2천892명 △경북 2천200명 △전남 524명 △전북 1천28명 △제주도 1천878명 등 모두 8천522명으로 집계했다.
당시 경북도내 지역별 학살피해자 수는 △대구시 상원동 240명 △대구시 파동 100명 △대구시 파동 가창댐 부근 100명 △대구형무소 1천402명 △문경군(산북면 인봉리) 86명 △대구시 일원 272명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