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문제
▲통일에 대한 의식
지역민의 상당수는 통일의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시기는 10년 넘게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응답자의 64.8%가 통일 가능성에 '그렇다'고 답해 불가능하다(34.8%)는 답변을 두배 이상 앞질렀으며 특히 지난 98년(58.3%)과 99년(62.7%) 조사때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는 통일에 대한 기대감이 지난해 6.15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상당히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통일 시기는 6-10년 내가 될 것이라는 응답이 30.3%로 가장 많았으나 20년 이상(20.7%), 11-15년(20.4%), 16-20년(18.1%)로 조사돼 10년 이상의 장기 과제로 보는 시각이 많았다. 통일이 불가능한 이유로는 이념차이(31.0%), 경제력차이(29.6%), 주변강대국의 이해관계(20.2%)의 순으로 조사됐다.
▲통일을 위한 선결과제와 통일이 미치는 영향
통일을 위해서는 경제.문화.비정치적 민간교류의 활성화(34.5%)와 남북한 상호불신제거(24.1%)가 가장 시급한 과제인 것으로 꼽혔으며 서신.이산가족방문(19.6%)과 남북정상회담(10.1%)이 뒤를 이었다.
통일 효과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측면에서 민족동질성 회복(37.8%)과 경제발전(30.4%), 국제적 지위향상(20.3%)이 지적됐지만 경제적 부담(40.2%), 정치적갈등(25.9), 주민간 위화감(21.7%) 등의 부작용도 겪을 것으로 우려했다.
한편 지역민들은 통일 문제에 있어 자유민주주의 수호(38.9%)라는 정치 이념보다는 민족화합(57.9%)을 대의를 우선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북관계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
지역민들은 적극 찬성과 성사 쪽에 많은 의견을 나타냈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에 대해 79.3%가 찬성한다는 입장을 보인 반면 반대(16.4%)는 소수의견에 불과했으며 답방 가능성에 대해서도 66.8%가 가능할 것이라는 답을 했다.
또 서울 답방은 폐쇄적인 북한의 태도 변화(37.0%)와 남북간 화해무드 조성(28.1%), 한반도 평화정착(19.5%)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대북정책에 대한 평가
지역민들은 여야의 대북정책에 대해 모두 비판적으로 평가했다.
정부.여당의 대북정책이 잘못하고 있다는 답은 44%에 달했으나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17.0%에 지나지 않았으며 보통이다가 38.3%로 나타났다. 한나라당의 대북정책 비판에 대해서도 33.5%가 당리당략에 의한 비판이라는 입장을 보였으며 정부의 대북정책을 잘 견제하고 있다는 답은 29.9%였다. 또 33.1%는 정부에 대해 더욱 강력한 비판을 해야한다고 밝혔다.
▲통일 헌법과 금강산 육로관광
여권 일각에서 논의되고 있는 통일헌법 추진에 대해 69.2%가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응답, '현실적으로 필요한 시기'(25.6%)라는 답을 크게 앞질렀다.
한편 금강산 육로관광이 허용될 경우 '관광 의향이 있다'는 답이 74.9%로 '없다'(24.8%) 보다 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대일.대미 문제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에 대한 대응
정부의 대일 대응책에 대해 불만의 목소리가 높았으며 상당수가 좀더 강경한 태도를 요구하는 등 지역민의 대일감정이 상당히 악화됐음을 나타냈다. 응답자중 절반에 가까운 이들이 정부의 대응 방식이 '잘못됐다'(47.6%)고 답한 반면 '잘하고 있다'라는 대답은 29.2%에 지나지 않았으며 보통이다가 22.9%를 차지했다.
바람직한 대일 대응책으로 '한일 관계가 악화되더라도 강경대응에 나서야 한다'라는 주장이 59.3%였으며 '관계 악화는 피하면서 유연한 대응을 해야 한다'라는 답도 40.4%였다.
▲주한미군에 대한 태도
주한 미군과 관련, 지역민들의 48.6%가 '서서히 감축해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안보차원에서 철수 반대(37.3%), 가급적 빨리 철수(13.6%)가 그 뒤를 이었다.
주한 미군의 공여지 반환은 63.2%가 '더빨리 반환했어야 한다'고 답했으며 '미군이 계속 사용해야 한다'라는 답은 13.9%에 불과했다.
▲우호.비우호국
친미, 반일 감정이 뚜렷히 교차됐다.
지역민들은 한국에 가장 우호적인 나라에 대해 64.6%가 미국이라는 입장을 보여 전통적 우호국으로서 미국의 확고한 위치를 재확인했으며 그 다음은 중국(16.6%), 북한(4.8), 러시아(2.1%)가 차지했다.
한편 비우호국 항목에서는 역사교과서 왜곡 파문 등에 따라 무려 49.3%가 일본이라는 답을 했다. 또 북한(22.2%), 미국(8.8%), 러시아(8.4%), 중국(4.8%)이 차례로 뒤를 이었다.
이동관기자 llddkk@imaeil.com
이재협기자 ljh2000@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