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임업후계자 육성 흐지부지

조림.육림과 산지자원화를 위한 임업후계자 육성 정책이 까다로운 선발 조건과 형식적인 지원책으로 지지부진해 개선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영양군의 경우 경북북부의 대표적 산지지역인 특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선발된 임업후계자는 5명이 고작이며 이들마저 분재소재 생산 등 단기 임산물 소득사업에 종사하고 있을 뿐 주 산림 자원화사업인 조림과 육림에는 손을 놓고 있다.

이같은 이유는 까다로운 후계자 선정규정 때문으로 50세 미만에 5ha 이상의 산지를 소유하거나 10ha 이상 국.공유림 대부자 중에서 산림용 종자나 임산물을 생산하는 사람으로 한정하고 있다.

정부의 지원도 문제다. 현재 임업후계자들에게는 조림과 육림 소요자금 80% 보조와 임야 매입자금 융자정책이 있으나 현실성이 없다는 것이 산림관계자들의 입장이다.

벌채로 소득을 얻을 수 있을 때 까지는 조림 후 보통 30∼70년이 걸려 자부담 투자를 꺼리고 산림사업비와 산림사업용 기자재 구입비는 전액 융자인데다 지원규모는 실제 소요금액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산림자원의 경쟁력 저하로 목재는 물론 최근들어 전업인이 나타나는 송이와 표고버섯 생산 등 극히 제한적인 분야 마저도 중국산 유입 등으로 경쟁력이 떨어져 임업후계자 희망자 자체가 급감하고 있다는 것이다.

권종현(57.영양읍 서부리)씨는 "임업후계자 육성책은 농업분야와는 비교 할 수 없을 정도로 열악한데다 산림사업이 소득으로 연결되지 않아 희망자도 쉽게 나타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산주 김병호(43.수비면 발리)씨도 "임업후계자 육성책이 현실과 겉돌아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며 대대적인 지원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영양.엄재진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