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DJP회동 2여 갈등 봉합할까

여권이 28일 김종필(JP) 자민련 명예총재가 일본방문을 마치고 귀국하는 대로 김대중 대통령과의 DJP회동을 추진할 방침이어서 이 회동이 임동원 통일장관 해임건의안 처리 문제를 비롯한 2여갈등 요인을 해소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27일 임 장관 해임건의안 처리 문제와 관련, "자민련이 30일 의원연찬회에서 당론을 결정하면 민주당과 조율을 거쳐 대책을 세워나갈 것"이라면서 "그 전엔 양당 원내총무를 중심으로 충분한 교감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그러면서도 이 관계자는 DJP 회동에 대해선 "김 명예총재가 일본 방문을 마치고 귀국해야 안다. 회동 일자는 김 대통령과 김 명예총재가 의사를 나눠 정해질 것"이라면서 "(비서진이) 미리 의사표시를 하는 것은 JP에 대한 예의, 금도를 어기는 것"이라고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했다.

이처럼 청와대측이 주내 DJP 회동 성사를 위해 자민련과 물밑접촉을 하면서도 "회동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신중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은 여전히 임 장관문제에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자민련을 자극하지 않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자민련은 이날 오전 확대당직자회의를 열어 평양축전 방문단 파문과 관련해 임 장관의 자진사퇴를 요구하는 기존 당론을 재확인하는 등 강경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또 김종호 총재권한대행도 민주당 의원들이 불참한 가운데 열린 국회통일외교통상위 전체회의에서 임 장관 출석요구 의결에 동참, 임 장관 해임건의안문제에 대한 한나라당과 자민련간 '한-자동맹'이 단순한 엄포용이 아님을 입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권 관계자들은 JP가 일본 방문에 앞서 "공조를 깨지는 않는다"는 입장을 표명한 만큼 DJP회동이 성사되면 임 장관 해임건의안 문제 등 2여갈등이 무리없이 조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청와대와 민주당 지도부가 주말과 휴일 자민련 의원들에 대한 집중적인 설득을 편 결과 자민련의 분위기도 내부적으론 많이 가라앉았다는게 여권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그러나 '보수원조'를 자처하고 있는 자민련이 임 장관 자진사퇴라는 배수진을 치고 청와대와 민주당을 압박하고 있는 만큼 자민련측을 달랠 묘안을 내놓지 않는 한 2여갈등 해소는 물론 DJP회동 성사 자체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없지 않다.

이에 따라 여권 일각에선 김 대통령과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간 영수회담을 통해 한나라당을 설득하거나, 당정개편으로 임 장관 문제를 우회적으로 돌파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