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불황의 여파로 의료보호 대상자가 급증, 이들에 대해 정부와 지자체가 분담하는 의료급여비가 큰폭으로 불어나면서 공공재정을 압박하고 있다.
16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대구지역 의료보호 대상자는 지난 98년 5만4천289명, 99년 6만5천72명, 지난해엔 7만5천723명으로 해마다 1만명씩 증가하고 있다.이들에게 지급한 총급여비용도 98년 313억여원, 99년 456억여원, 지난해는 531억여원으로 계속 불어나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IMF이후 지역의 경기가 어려워져 기업 도산, 실직자 등이 늘면서 기초생활보호 대상자에 포함되는 의료보호 대상자가 함께 느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바람에 국비 80%, 시비 20%로 지급하는 의료보호 대상자 급여비가 열악한 대구시 재정을 압박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의료보호 급여비가 대구시가 매년 책정한 예산을 초과하는 바람에 병·의원에 줘야할 진료비가 평균 4개월 이상 밀리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병원협회가 최근 전국 941개 병원을 조사한 결과 의료보호 환자에 대한 진료비 총체불액이 6천억여원을 넘어섰으며, 병원당 평균 체불기간도 8개월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보건복지부는 의료보호 대상자의 증가 문제와 함께 병·의원들이 이들에 대해 과잉진료와 장기투약을 하기 때문에 의료보호 재정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 의보환자 진료비가 많은 병·의원을 집중 심사·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정욱진기자 pencho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