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야행성 생활 접고 낮주기 '시차적응'

◈교실분위기 초연 하도록

◇생활 패턴을 낮 주기로 바꿔라=대다수 수험생들이 야행성 생활에 익숙해 있다. 늦게 잠자리에 들다 보니 오전에는 힘이 없고 집중이 잘 안 되는 수험생이 많다. 수능시험 당일에는 오전 8시 10분까지 입실을 완료해야 한다는 사실, 일반적으로 잠 깬 후 2시간이 지나야 정상적인 두뇌 회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적어도 시험 1주일 전부터는 철저하게 수능 시간표에 맞춰 낮 주기로 생활 패턴을 바꾸어 놓아야 한다. 이제부터는 가능하면 밤12시 이전에 잠자리에 들고 오전 6시쯤 일어나는 생활을 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심리적 안정이 승패의 관건이다=시험이 임박해 심리적 불안과 압박감에 시달리다 보면 급격하게 수면량을 줄이거나 학습환경, 방법 등을 바꾸기가 쉽다. 생활 패턴을 급격하게 바꾸면 기분을 전환시켜 주거나 학습 효율을 높여 주는 게 아니라, 불안을 가중시켜 생활에 활력을 떨어뜨리기 쉽다. 결국에는 자신감을 잃게 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평소의 공부 습관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규칙적인 생활을 하도록 해야 한다. 가벼운 운동이나 산책은 기분전환과 머리를 맑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번 주말 가벼운 산행이나 산책을 하며 결의를 다져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적극적이고 도전적인 자세를 가져라=시험이 다가올수록 교과서나 문제집을 건성으로 보기가 쉽다. 문제를 풀 때도 끝까지 답을 구하지 않고 조금 생각하다가 답만 확인하고 넘어가기가 쉽다. 남은 시간을 이렇게 보내면 시험 당일날 문제 풀이 감각이 둔해져서 알고 있는 문제에서 실수하기가 쉽다. 지금부터는 교과서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정리하면서 실전 모의고사 문제를 정한 시간 안에 끝까지 풀어보는 연습을 하면 많은 도움이 된다. 이때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를 가지면 잘 풀리지 않는 문제에서도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는 여지가 커진다.

◇교실 분위기에 휩쓸리지 말라=수험생들은 대개 요즘 교실 분위기를 그 어느 때보다 소란스럽게 느낀다. 시간은 많지 않고 마음이 급하다 보면 불안한 마음에 같이 모여 떠드는 경우가 잦아진다. 같이 떠들 때는 다가올 시험에 대한 불안감을 잠시 잊을 수 있지만 나중에 혼자 있을 때 더욱 공허하고 허탈해지기 쉽다. 심한 경우 공부 리듬이 급속하게 깨어지기도 한다. 주변의 소란한 분위기에 휩쓸리지 말고 자신의 페이스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