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석굴암 인근 바위에 일제때 훼손된 것으로 추정되는 명문이 발견돼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 10월 한달동안 경주 토함산 일대 유적을 답사한 위덕대 박물관 학술조사단은 2일 "석굴암 남쪽 진입로의 바위에서 조선시대때 유행한 가로 45cm, 세로 95cm 크기의 훼손된 마애비 명문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조사단은 이날 조사보고회에서 "석굴암 남쪽 100m 지점의 바위에 새겨진 이 마애비는 비문이 심하게 훼손돼 전체적인 명문판독이 불가능한 상태"라며 "겨우 濟世堂…. 峴山石窟庵(?)…. 大小…基…永世…慕碑 등의 글자만 판독했다"고 밝혔다. 관계자들은 일부 판독된 글자를 바탕으로 '제세당'이라는 스님이 석굴암의 어느 부분을 중수한 기록을 마애비에 남긴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특히 이 마애비는 현재까지 석굴암과 관련된 유일한 금석문으로 알려져 학계에서는 자료적 가치가 높은 유적이라고 평가했다.
김무생 조사단장은 "마애비에는 원래 4행 40자 정도의 글자가 새겨져 있었으나 연호부분과 본문이 철저히 지워져 있었다"며 "일제가 총독부 정치의 우월성을 선전하기 위해 바위의 명문을 고의로 훼손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사단은 또 1913년부터 1915년까지의 석굴암 복원공사 때 일본인들이 467m의 진입로 공사를 한 점 등으로 미뤄볼 때 조선총독부가 기록인멸행위를 한 것이 틀림없다고 주장했다. 특히 "글자 부분 전체를 세밀하게 지운 점, 자국마저 찾기 힘들게 손질한 점 등은 일제의 명문 훼손이 계획적이었음을 반증하고 있다"고 밝혔다.위덕대 박물관 박홍국 학예연구실장은 "이번 마애비 조사과정에서 토함산이 한때 '현산(峴山)'으로 불렸고, 현재 진입로가 옛날 참배로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1910년대 석굴암 복원공사 당시 일제는 석굴암내에 있던 5층 대리석보탑과 보살상 2구를 훔쳐간 사실이 있고, 천장돌에 '日本'이라는 글자를 새겨넣는 만행을 저질렀었다.
조향래기자 swordj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