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입 제도 혼란…이대론 안된다

대폭 달라진 대학입시 제도에 따른 혼란과 부작용이 정시모집 원서 마감 결과 현실로 나타나자 수험생과 학부모들의 원성이 빗발치고 있다. 이들은 수능 총점분포 미공개, 복잡해진 전형 방법, 세분화된 특별전형 등으로 대대적인 하향 지원과 경쟁률 불균형 사태가 발생했다고 비판, 수능 이원화, 특차 부활 등 개선을 거세게 요구했다.

이번 정시모집에서는 수능 총점 분포 미공개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한 수험생들이 목표보다 2, 3 단계 낮춰 지원하면서 상위권 대학의 경쟁률이 폭락한 반면 중하위권 대학 지원자가 폭증하는 불균형이 빚어졌다.

서울대 경우 간호대와 농생대 자연계가 정원에 미달되고 공학계열 등 일부 학과 지원자도 1단계 선발 인원(정원의 2배수)조차 채우지 못했으며, 여기에는 수능 성적으로 1단계 전형하고 2단계에서 심층면접을 실시하는 새로운 전형방법에 대한 부담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됐다. 같은 이유로 분할 모집 대학들에서도 전형방법이 복잡한 모집군보다는 수능.내신 등으로 전형을 단순화한 모집군에 수험생이 몰렸다.

특별전형도 복잡.다양해지면서 수험생들이 지원을 기피, 경북대 0.54대 1, 대구대 0.83대 1 등 지역 대학 대다수가 정원을 못채웠다. 올해 처음 도입된 수능 특정 영역 우수자 전형의 경우 수험생들이 지원 경향을 예상하기 힘들어 907명을 모집한 대구가톨릭대만 정원을 넘겼을 뿐 경북대는 106명 모집에 57명, 대구대는 150명 모집에 고작 6명만 지원했다.

이처럼 2002학년도 입시제도의 허점이 드러나자 교육부 인터넷 홈페이지 게시판에는 13일 밤에만 수백건의 비난 의견이 쏟아지는 등 수험생들의 불만이 최고조에 이르렀다. 한 수험생은 "12년을 끈질기게 참고 공부했지만 마지막에 배운 것은 눈치작전이고 남은 것은 허탈함뿐"이라면서, "교육부 발표를 믿고 따라온 수험생들이 왜 이런 수난을 겪어야 하느냐"고 울분을 터뜨렸다. 또다른 수험생은 "입시 40년 역사상 2002학년도 수험생이 가장 큰 피해자이다" "수능을 2, 3차례로 늘리고 특차 부활, 수시 폐지 등 입시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 고3담당 교사는 "입시제도 변화로 올해처럼 진학지도가 어렵고 자신 없기는 처음이었고 결국 엄청난 혼란과 부작용으로 귀착되고 말았다"면서, "대학의 자율성을 확대하되 수험생과 교사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는 쪽으로 입시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재경기자 kj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