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내버스 설자리가 없다,10년새 승객 절반으로 급감

시민의 발인 대구 시내버스가 택시, 자가용, 지하철 등 경쟁 및 대체교통수단에 승객을 뺏기면서 대중교통수단으로서의 설자리를 잃고 있다.

특히 버스요금 인상으로 적자를 메워온 업체들은 요금 인상으론 더 이상 경영난을 버틸 수없어 정부의 버스정책이 민간중심에서 정부개입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여론이 드세지고 있다.

대구시가 지난 8월과 11월말 두 차례 31개 회사 88개 노선 1천719대의 시내버스를 대상으로 올해 이용승객 및 운송수익금 실태를 조사한 결과, 1일 평균이용승객이 81만4천77명으로 99년의 97만1천830명보다 16.23% 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90년의 1일 이용승객이 154만여명이었으나 이후 연평균 6.31%씩 줄어들기 시작, 11년새 절반이나 감소했다.

반면 자동차의 경우 90년 21만7천대에서 94년 44만대로 배 이상 증가했고, 97년 60만대를 돌파, 올해 11월말 현재 73만대로 90년 대비 4배가까이 급증했다.

자동차당 매일 1명만 타도 시민 3.5명중 1명꼴로 자동차를 이용하고 있는 셈이다.

또 택시도 96년 1만5천783대에서 98년 1만6천612대, 올해 1만7천51대로 매년 증가했고, 98년 개통된 지하철은 올해 하루 평균 13만8천명이 이용하는 실정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90년이후 이탈한 버스승객들은 택시와 자동차, 지하철 등으로 옮겨간 형태"라며 "시민들의 교통수단 이용 선택권이 넓어졌지만 운송수익금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버스업계에는 경영압박의 주 요인이 됐다"고 말했다.

또 지난해 버스요금이 전년 대비 평균 17% 인상됐지만 올해 운송수익금의 경우 1일 대당 32만6천777원으로 99년의 31만5천372원보다 3.61% 증가에 그쳐 운송수익금 의존회사경영이 한계점을 넘어선 것으로 분석됐다.

더구나 유가 및 임금인상, 버스유지관리비 등으로 인한 버스회사 지출은 눈덩이처럼 불어 회사들의 적자폭은 해가 갈수록 늘어나는 실정이다.

시에 따르면 99년 당시 32개 회사중 1개사 부도 등 절반인 16개사 적자로 돌아섰고, 올해는 일부 회사의 경우 체불에다 버스운행이 장기간 중단되고, 적자를 견디다 못해 경영권이 바뀌는 등 31개사가 모두 경영 적자를 보고 있다는 것.

이에 따라 업체들은 "민간에서 버스회사를 운영하는데는 한계상황을 넘은지 오래"라며 정부의 버스정책 대전환에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대구시 버스조합 관계자는 "정부가 연간 6억원을 지원하는 비수익노선의 경우 적자보전에도 미치지 못하고, 올해 재정지원금 62억2천만원의 경우도 임금인상분에도 못미치는데다 지자체에 떠넘기는 바람에 재정이 빈약한 시로부터 절반도 안되는 21억여원밖에 지원받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불만을 터뜨렸다.

업계는 유류세 감면, 대폐차비 지원, 자가용 승용차 사용 억제, 차량 부제 실시, 버스전용차선 확대 등 정부의 적극적인 버스정책 개입을 요구하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시내버스는 없어서는 안될 대중교통의 주축으로 민간에만 맡겨서는 언제 운행을 중단할 지 모를 상황에 이르렀다. 정부차원의 버스정책 대전환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종규기자 jongku@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