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승남 검찰총장의 사퇴에 대해 청와대는 어쩔 수 없는 선택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러면서 각종 게이트에 현 정부 고위 공직자들이 줄줄이 연루된데 이어 신 총장마져 가족의 비리 혐의로 중도하차하게 되자 이같은 상황이 언제까지 계속될지 암담해하고 있다.
김대중 대통령이 신 총장의 사퇴를 수용하게 된데는 신 총장의 동생 승환씨에 대한 검찰 수사가 특검에 의해 뒤집어진 것이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는 의도적이든 아니든 중수부의 수사 자체에 심각한 오류가 있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며 신 총장의 수사 지휘 책임으로 돌아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특검의 수사가 승환씨와 접촉한 검찰간부 등 검찰 핵심부 쪽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했을 법하다.
여기에다 정치적인 고려도 작용했다. 임기제 검찰 총장임을 이유로 신 총장을 계속 안고 있다가는 김 대통령의 임기말 국정운영에 상당한 부담을 줄 수밖에 없다는 판단이다.다가온 양대 선거에서도 이길 수 없다는 판단이 작용했다는 것이다.
야당의 신 총장 사퇴요구에 대해 완강하던 청와대의 태도가 13일 오전부터 『청와대가 개입할 사안이 아니다』로 바뀐 것이나 신 총장을 적극 엄호했던 민주당도 『대단히 고민중인 사안』(한광옥 대표)이라며 한발 물러선 것에서도 분위기가 잘 드러났다. 여기에다 14일 김 대통령의 연두기자회견도 신 총장의 사퇴를 앞당기는 힘으로 작용했다.
연두기자 회견에서 신 총장 문제가 관심으로 초점으로 떠오르면서 김 대통령의 임기말 국정운영 구상 전체가 스포트라이트에서 비껴나서는 안된다는 것이 청와대의 판단이다.
그러나 청와대는 신 총장이 여론의 비판과 야당의 공세에 밀려 중도하차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여권이 더욱 수세로 몰리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정경훈기자 jgh03162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