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임종덕 박사는 지난 98년 경남 진주서 국내 첫 발견된 집게벌레 화석을 분석한 결과 1억~1억1천만년 전에 살았던 수컷 집게벌레인 것으로 판명됐다고 21일 밝혔다.
임 박사는 이 화석처럼 더듬이와 집게 등 모든 부분이 완전한 상태로 보존된 경우는세계적으로도 극히 드물기 때문에 이 화석의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임 박사는 "집게벌레는 주로 열대성 기후 환경에서 살기 때문에 이 화석을 통해 우리나라도 중생대 백악기 초기에는 열대나 아열대 기후 지역에 포함돼 있음을 알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감서 뻔뻔한 거짓말 안돼…위증 왜 수사 안하나"
대통령 재판 놓고 대법원장 증인으로…90분 '난장판 국감'
추미애 위원장, 조희대 질의 강행…국힘 의원들 반발
위기의 건설업, 올해 들어 2천569개 건설사 사업 포기
한국 첫 투자처로 포항 선택한 OpenAI, 뒤에 포스코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