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가루와 같이 부드러운 고양이의 털에
고운 봄의 향기가 어리우도다.
금방울과 같이 호동그란 고양이의 눈에
미친 봄의 불길이 흐르도다.
고요히 다물은 고양이의 입술에
포근한 봄 졸음이 떠돌아라.
날카롭게 쭉 뻗은 고양이의 수염에
푸른 봄의 생기가 뛰놀아라.
-이장희 '봄은 고양이로다'
호가 '古月'인 이장희는 1900년 대구에서 태어나 29세 때 자살함으로써 짧은 생을 마감했다. 이 시는 그의 대표작이다. 1920년대 초반의 작품치고는 뛰어나게 감각적이다.
특히 둘째 연의 고양이 눈에 '미친 봄'의 불길이 흐른다는 표현은 퇴폐적이면서도 그의 자살을 예감케하는 구절이다. 전체적으로 봄의 생명력을고양이와 대비하여 감각적으로 그렸는데 바로 그 점이 이 시의 현대성이다. 시비가 대구 두류동산에 있다.
김용락〈시인〉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
조국 "오세훈 당선, 제가 보고 싶겠나…내년 선거 피하지않아, 국힘 표 가져올 것"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
삼국통일 후 최대 국제이벤트 '경주 APEC' 성공(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