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 성인 가운데 과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29%로, 58%인 미국의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과학문화재단(이사장 최영환)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성인 남녀 1천13명을 대상으로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과 지식, 태도 등을 조사해 미국과학재단(NSF)이 2001년 실시한 과학기술국민이해도 조사와 비교한 결과, 과학기술에 관심있고 잘 안다는 응답이 4%, 관심있다는 응답이 25%인 것으로 각각 나타나 10%와 48%인 미국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관심도가 낮은 것과는 달리 응답자의 73.3%가 과학계를 신뢰한다고 밝혀 입법(10.9%), 행정(24.6%), 법조(33.8%), 산업계(39.3%) 보다 훨씬 높은 신뢰도를 누리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과학자를 희망하는 자녀가 있을 때의 느낌에 대해서는 미국의 경우, 아들·딸 모두 80%의 응답자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데 비해 한국은 아들일 경우 56.4%,딸은 51.4%만 긍정적으로 응답, 직업으로서의 과학자에 대한 선호도는 비교적 낮았다.
과학기술이 우리 삶을 안락하게 만들고(93%. 미국 86%) 더 많은 기회를 줄 것(79%. 미국 85%)이라는 긍정적인 응답도 많았지만 과학이 생활을 너무 빨리 변하게하고(84%.미국 38%) 비인간적으로 만들며(54%. 미국 30%) 궁극적으로 지구를 파괴할것(54%. 미국 29%)이라는 부정적인 응답도 만만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학문화재단의 이번 조사는 응답자 1천13명 모두에 대한 개별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95% 신뢰 수준에 오차범위는 ±3.1%포인트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