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보험료율을 소득의 9%로 유지하고 급여기준도 현 상태로 고수할 경우 오는 2044년에는 연금기금이 완전 고갈될 것으로 예측됐다.
또 적립기금 없이 국민이 내는 돈을 노령층에 지급하는 방식으로 국민연금을 운영하려면 오는 2030년에는 소득의 15.6%를, 2050년에는 소득의 31%를 보험료로 내야할 것으로 추산됐다.
최병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보장연구실장은 2일 보건복지포럼에 실린 '사회보험정책의 평가와 향후 발전방향'이라는 연구자료에서 2001년에 개정된 신인구추계하에서 연금재정을 전망한 결과 오는 2044년에는 기금이 고갈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최 실장은 "작년에 추계했을 때는 오는 2048년에 기금이 고갈될 것으로 예측됐으나 최근 다시 추계한 결과 4년이 당겨져 2044년에 고갈될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금리가 많이 내려간데다 노령화사회 진행 속도도 당초 예측보다 빨랐기 때문"이라고설명했다.
최 실장은 또 만약 제도 초기부터 적립기금없이 부과방식으로 제도를 운영했다면 2020년에는 소득의 7.4%만 보험료로 내면 되지만 2030년에는 15.6%를, 2050년에는 31%를, 2080년에는 35%를 내야 될 것으로 추산했다.
최 실장은 이어 국민연금의 장기재정 건실화를 위해서는 연금급여수준을 하향조정하거나 지급연령을 늦추는 전통적인 방안이 제시되지만 근본적인 재정안정을 위해서는 적립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