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회의 술잔과 무엇을 향한 탄식으로 얼룩진 연말이 가고 또 바쁘게 새해가 왔습니다.
세월이 자신의 나이만큼 빨리 간다지만 나에게는 더 과속인 것 같습니다.
그 세월의 속도감은 크게 감동적일 것도 없이 46년을 살아왔다는 자책감과 버려야하고 잊어야만 할 것들만 잔뜩 껴안고 사는 내 자신의 무력감 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새해 첫날 뭔가 새로운 결심을 한다거나 거창한 계획을 세운다는 것이 매년 후회만을 더 하기에 올해는 아무 결심도 계획도 세우지 않으렵니다.
단지 하늘의 구름같이, 빈 들판의 바람같이 그렇게 허허롭고 단순하게 살고 싶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더 어려운 결심이고 더 힘든 삶이란 것을 오히려 더 잘 압니다.
그래서 마음을 버리기 위해 가까운 팔공산으로 산행을 나섰습니다.
복수의 칼날 보다 더 푸른 하늘을 이고 선 한겨울 팔공산은 소리 없는 아름다움이었습니다.
지난 계절의 빛나는 녹음도 붉은 아우성도 이제 다 지쳐 놓아버리고 빈 침묵만을 매달고 서있는 나목(裸木)들은 더 없이 홀가분한 존재의 고요함이었습니다.
언 계곡 물은 더 깊고 고요하게 속으로만 흐르고 있었습니다.
산은 며칠 전 겨울 삭풍이 뿌리고 간 흰눈을 정수리에 이고 안으로 안으로 침잠하고 있었습니다.
다만 살아있기에 버리지 못하고 껴안고 사는 아픈 상처 같은 나뭇잎 몇 개가 아직 빈 가지를 부여잡고 흔들립니다.
여태껏 사는 것이 괴로웠던 것은 그저 사는 것은 잊는 것 인줄 모르고 한겨울에 언 솔잎같이 부둥켜 안고 가려는 어리석음 때문이었습니다.
빈 가지에서 흔들리던 나뭇잎 하나가 툭 떨어집니다.
사는 것은 잊는 것이라고, 사는 것은 잊는 것이라고, 잊으며 사는 것이라고 북서풍 겨울 바람이 귓전에 속삭입니다.
남은 나뭇잎 하나가 또 떨어집니다.
그러나 삶이란 또한 그 무엇인가에 정성을 쏟는 일만으로도 충분히 가치가 있다하기에, 내 곁에는 사랑하는 가족도, 직업도, 산도 있기에 그 무거운 자책감과 무력감을 털어 내고 애써 힘찬 발걸음 옮겨봅니다.
올려다본 하늘은 서럽도록 푸르렀습니다.
안과 전문의 서억수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