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물지표들은 비교적 호조세를 보이는데 반해 소비자.기업의 체감경기가 큰 폭으로 떨어지고 있는 것은 경제상황에 대한 지나친 '우려', '비관' 때문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0일 연간 6% 내외의 성장세를 유지하고 작년 10월 들어 산업활동지수, 도소매판매지수 등도 상승반전했지만 소비자동향지수(CSI)나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등은 여전히 뚜렷한 하락세(작년 하반기 기준)를 보이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가계부채 △주택가격 버블화와 부동산가격 급락 △해외 디플레 △수출품목 편중과 환율 및 해외경기 불안정 △생산지표와 분배지표간의 괴리 등에 대한 지나친 우려가 소비자와 기업의 체감경기를 필요 이상으로 악화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같은 지나친 비관이 실제로 '자기예언적 효과'를 통해 가계와 기업의 지출, 투자를 위축시켜 경제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구원은 이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개별가계의 신용능력을 정교하게 식별하고 가계의 유동성 제약을 완화할 수 있는 금융기관의 능력을 키우고 기업투자가 지나치게 체감경기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지 않도록 금융중개기능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