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달 29일 시사한 것처럼 핵확산금지조약(NPT)을 탈퇴함에 따라 다음 조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은 지난달 12일 '핵동결 해제' 선언 이후 밟아온 순서를 고려할 때 잠시 국제사회의 반응을 지켜보다 평북 영변의 5㎿ 원자로 재가동에 들어가거나 핵무기 원료인 플루토늄을 추출할 수 있는 재처리시설인 방사화학실험실 가동에 들어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핵동결 해제' 선언 이후 지난달 21일 5㎿ 원자로의 봉인을 제거하고 감시카메라를 무력화시킨 데 이어 사용 후 연료봉 저장시설(22일)과 재처리시설인 방사화학실험실(23일)의 봉인을 제거하고 감시카메라를 무력화시켰다.
북한은 이어 지난달 25일부터 저장 창고에 있는 새 핵연료봉을 5㎿ 원자로로 옮기기 시작한 것으로 관측됐다.
또 지난달 27일에는 리제선 원자력총국장이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에게 서한을 보내 IAEA 사찰관을 내보내기로 했으며 방사화학실험실 가동 준비가 곧 완료된다고 통보했고 29일에는 급기야 NPT 탈퇴를 시사했다.
미국 등은 북한의 5㎿ 원자로 재가동에 대해서도 부정적이지만 이보다는 방사화학실험실 가동을 금지선(red line)으로 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정부 당국자도 10일 "북한의 다음 조치는 (평북 영변에 있는) 5㎿ 원자로 재가동부터 시작될 것"이라며 "재처리시설을 가동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위험조치는 무엇이냐"는 질문에 "재처리시설 가동"이라고 대답했다.
물론 북한은 지난달 27일 방사화학실험실 가동 준비가 곧 완료된다고 밝힐 때 이는 5㎿ 원자로에서 나오는 사용 후 연료봉을 보관하기 위해서라고 주장했지만 이를 곧이곧대로 믿기는 쉽지 않다.
왜냐면 고순도 플루토늄을 추출할 수 있는 사용 후 연료봉 8천여 개를 갖고 있는 북한이 봉인과 감시카메라, 사찰관 등 IAEA 감시 장치를 모두 제거한 데 이어 NPT 마저 탈퇴하고나서 재처리시설을 가동할 경우 이를 핵무기 개발과 관련 없는 일로보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