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상 우리나라 주택보급률은 100%를 초과했다.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주택보급률은 100%를 초과했으며, 수도권 주택보급률은 서울 83.8%, 경기 94 .2% 등 평균 91.8%인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5년마다 공식 조사하는 주택보급률은 지난 1960년 84.2%에 달한 이래 경제성장에 따른 도시화와 인구증가, 핵가족화에 따른 가구수 증가 등 요인으로 1970년 78.2% , 1975년 74.4%, 1980년71.2%, 1985년 69.8%로 점점 떨어졌다.
그러나 80년대 후반부터 주택난을 획기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주택 200만가구 건설 계획이 발표되고, 이에 따라 일산.분당.평촌.산본.중동 등 5대 신도시가 조성되 면서 1990년에는 72.4%로 상승세를 회복한 뒤 1995년 86%, 2000년 96.2%로 급상승 했다.
건교부는 올해 계획대로 50만가구가 지어지면 연말 전국 주택보급률은 102.7%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 대구지역의 주택보급률은 얼마나 될까?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지역 주택보 급률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83.1%로 추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 올 주택보급 목 표치는 83.7%로 잡고있다.
하지만 이같은 주택보급률은 다가구주택을 1가구로 간 주하고 근린생활시설과 복합건축물의 주택은 산정에서 제외한 수치를 바탕으로 한 것이어서 실제 보급률은 100%에 육박할 것으로 대구시는 보고 있다. 또 대구에서는 해를 거듭할수록 공동주택(아파트 등)의 구성비율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체 주택 66만3천155가구 중 아파트 32만8천622가 구, 연립주택 8천381가구, 다세대주택 10만9천795가구 등 공동주택이 44만6천798 가구로 67.4%를 차지한 반면 단독주택(다가구주택 포함)은 21만6천357가구(32.6%) 로 집계됐다.
대구지역의 아파트와 단독주택비율은 지난 1997년 62.8 대 37.2에서 2000년 66.1 대 33.9 등으로 변화, 갈수록 아파트 수요가 두터워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황재성기자 jsgold@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