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지역대표 운영위원 선출 방식을 두고 대구·경북 의원 사이에 미묘한 기류가 흐르고 있다.
직선제 방식에 맞서 일종의 '합의추대'격인 시·도지부 운영위원회에 의한 간선제 선출 움직임이 고개를 들고 있기 때문이다.
경선과정에서의 불필요한 대립이나 견제, 분란을 막자는 것이 간선제 주장의 골자. 여기에는 중진급 경북의원 상당수가 공감하는 분위기다.
당·정치개혁 특위가 논란끝에 직선제 방식을 채택키로 잠정 결정했음에도 이같은 기류가 흐르는 배경은 내년 총선과 맞닿아 있다.
경북지역 한 의원은 "지역대표 선출과정에서 행여 초·재선 의원에게 졌을 경우 중진 의원들이 받아들이는 충격은 상상을 넘는 것"이라고 말했다.
당선되면 '본전'이지만 초·재선 의원에게 밀릴 경우 지역구에서 얼굴을 못들게 된다는 것이다.
게다가 그런 분위기가 세대교체 바람으로 이어질 경우 총선을 치르기도 전에 치명타를 입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또 일부 의원을 제외한 초·재선 의원 역시 연령대와 선수(選數) 구분이 뚜렷한 경북지역 정서를 감안할 때 중진들에게 머리를 디미는 것이 불경스럽게 보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박헌기·권오을·이인기 의원의 경우 운영위원 직선제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그러나 대구는 경북의 이런 분위기와는 사뭇 다르다.
3, 4선급인 강재섭·윤영탁 의원을 제외하면 대구의원 대부분이 재선급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얼마전까지만 해도 직선 분위기가 16개 시·도 중 가장 왕성했다.
현재 거론되는 백승홍·이해봉·박승국·박종근·안택수 의원 모두 재선급이기도 하다.
그러나 지하철 참사 이후 경선 분위기가 꺾이면서 상대적으로 직선제 폐지주장이 탄력을 얻고 있다.
최근 박종근 의원은 대구 의원들을 상대로 직선제 반대 서명에 나서 2, 3명을 제외한 상당수 의원들로부터 긍정적인 회신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대구 의원들은 오는 10일 열리는 지구당 위원장 연석회의 앞서 별도 모임을 갖고 중지를 모으기로 했다.
특히 직선제 폐지에 동조하는 다른 지역과 연대, 공동대응하는 방안도 모색키로 해 직선제 관철을 주장해온 중도 및 소장파 의원들과 마찰이 예상된다.
이에 대해 강 시지부장은 "대구의원 끼리 잘 합의하면 받아들일 수도 있으나 무리하게 합의를 엮을 생각은 없다"고 경선 원칙을 분명히 했다.
현재 지역대표 운영위원의 경우 대구는 2명, 경북은 3명을 선출토록 잠정 결정된 상태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