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서서히 영농철로 접어들어 농민들은 벼농사용 볍씨를 담그게 된다.
볍씨를 담글 때는 농약을 타서 볍씨 소독을 하는데 이 때 사용하는 농약이 대단히 문제다.
볍씨 소독때는 다이메크론이라는 농약을 쓰는데, 이 농약을 물에 타 그 희석된 물에 볍씨를 며칠씩 담가놓은 후 파종한다.
농약을 사용한 후에는 이 치명적인 독성의 농약물을 그냥 내버리는 것이 문제다.
전국 농가에서 이렇게 수백만t씩 버려지는 농약물은 전부 하천으로, 강으로 흘러 바다로 그냥 들어갈 것이다.
물론 전혀 정화되지 않은 채. 그래도 예전에는 그 볍씨를 모판에 모종해 그걸 가져다가 이양기로 심는 방식을 썼지만 요즘은 그나마 일손이 달려 볍씨를 직접 논에 뿌리는 직파 방식을 쓴다.
그래서 농약이 과거보다 훨씬 더 광범위하고 강하게 퍼진다.
농촌의 논두렁과 하천에 송사리 물방개가 살지 않는 이유는 그 때문이다.
농약 사용 후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종언(경북 의성군 양천리)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