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과 권력의 건강한 긴장관계는 민주주의 발전과 걸음을 같이하는 절대요인인 것은 틀림이 없다.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우리가 과거 권위주의 시대에 경험한 권.언(權.言) 유착에 따른 폐해를 봐도 이런 관계설정은 국민적인 동의와 설득력을 가진다.
노무현 대통령이 비서실 직원 워크숍에서 밝힌 "특별한 소수언론 말고 일반적인 언론과도 담담하게 긴장관계를 가져야 한다"는 말은 전적으로 수긍이 가는 대목이다.
언론을 선전(宣傳)적 도구로 활용하지 않고 비판의 기능을 존중한다는 원칙의 유지라는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몇가지는 언론의 환경을 위축할 수 있다는 지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우선 '(언론이) 통제되지 않는 권력, 검증되지 않은 권력'이라는 언급에 선뜻 수긍이 안된다.
언론에 대한 시민단체 등의 감시와 분석이 활발하고 인터넷 등에서 글을 올려 잘못을 지적한다.
오보 등으로 피해를 입었다는 일반 국민들은 물론 검사들도 민사소송을 제기하는 게 우리의 언론관계다.
따라서 언론매체는 객관적인 보도와 균형감각 유지, 정확한 보도, 확인절차에 각별한 신경을 쓴다.
자정과 자율 노력을 중단할 수가 없다.
스스로의 통제다.
스스로 개혁에 고민하고 긴장을 풀지 않는다.
언론의 으뜸 기능은 건강한 비판이다.
비판을 위한 비판이 아니라 우리사회, 국가를 거듭나게 하고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낼 여론 여과작업의 일환이라는 것은 어느 누구도 부정하지 못한다.
이런 언론의 비판기능때문에 권력과 갈등 내지는 마찰의 연속인 것은 지금까지의 상황이다.
따라서 억압의 주체가 권력이었지 언론은 아니었다.
노 대통령이 말한 '언론의 정부 박해'가 과연 가능할 것인지 잘못판단한 것이 아닌지 혼란스럽다.
언론과 권력의 오해는 사회에너지의 낭비를 가져온다.
정부의 시책 등 정보공개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고 '홍보굴절'은 국민들의 손해로 마감할 수도 있다.
언론의 적절한 견제를 인용(認容)해야 건강한 정부가 아닌가.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