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든 일을 많이도 겪었지만 세상은 그래도 살만한 곳이라 생각합니다".
키가 130㎝ 남짓한 2급 왜소증 장애인 배조규(49·대구 산격동)씨의 인생 이야기는 멀쩡한 육신을 갖고도 쉽게 좌절하는 나약한 사람들을 질타하고도 남음이 있었다.
7세 때 사고를 당해 장애인이 됐다.
몸이 그러면서도 14세 때 불우한 가정을 떠나 무작정 상경했다.
갓 초등학교를 졸업한 장애아. 구두닦기를 배우며 아침부터 밤늦게까지 일했지만 돈 한푼 받지 못했다.
그저 잠자리와 한끼 밥이 대가의 전부.
그렁저렁 살면서 결혼을 한 뒤 대구로 되돌아 왔다.
동대구로 한 빌딩 옆에 구두닦이를 '개업'했다.
그게 19년 전. 딸아이를 하나 둬 그 커 가는 모습 보는 재미로 살았다.
하지만 세상은 부부를 배신했다.
보증 서 줬던 두 친구가 발길을 끊고는 돈을 갚지 않았다.
"설마 몸이 이런 나를 이용하리라곤 생각도 못했습니다". 얼마나 사무쳤는지 배씨의 눈이 다시 붉어졌다.
매일 같이 거듭되는 빚 독촉에 술로 시름을 달래야 했다.
죽자며 몸부림치기도 했다.
그러는 사이 또하나의 배신이 그를 흔들고 지나갔다.
빚을 갚아 나가야 하는 어려운 살림에도 배씨는 8년간 한 소녀가장을 후원했다.
그 아이가 초등학교 다닐 때부터 매월 5만원씩 꼬박꼬박 보내고 명절에는 쌀이나 고기를 갖다 주기도 했다.
하지만 고등학교를 졸업하기에 돈 부치기를 중단하자 아이는 발걸음 한번 전화 한 통 없이 정을 끊었다.
"정말 서운했습니다.
마음을 너무 다쳐 더 이상은...".
남의 빚 덮어쓴 일 못잖게 충격적이었는지 배씨는 말을 잇지 못했다.
배씨의 한달 수입은 겨우 40만, 50만원. 매달 15만원 가량의 영구임대 아파트 임차료·관리비를 내고 나면 생활비에도 빠듯하다.
정부 지원금이 그나마 큰 힘. 그런 형편인데도 돈을 떼 보냈다가 외면당하고 말았으니 그 마음이 어떠했을까 싶었다.
배씨 부부는 지금 8세 난 늦둥이 아들, 골다공증으로 불편한 장모와 함께 산다.
본인 살기도 어려운데 장모 모시기가 힘들지 않느냐는 물음에 돌아 온 대답은 명확했다.
"장모님은 우리 집이 편하다고 하시지요".
배씨 가족으로 하여금 험한 세상을 헤치고 나아갈 수 있게 하는 것, 그 어려움 속에서도 남을 도와가며 살게 만드는 힘은 부부의 상호 존중과 사랑인 것 같았다.
"남들은 생활고가 닥치면 가정이 파탄난다지만 우리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내 남편은 영원한 내 짝이지요. 짝을 버리고 어떻게 살겠습니까?" 애정 어린 눈빛으로 남편을 바라보는 부인 이경희(41)씨 역시 소아마비 장애인이었다.
배씨를 보증 빚 사건의 절망에서 구한 것도 가족애였다.
뒤늦게 일이 터진 걸 알게 된 아내는 남편을 다독이고 아이를 위해 모아뒀던 적금을 깼다.
조금씩 빚을 갚아나가기 벌써 10년째. 다음달이면 그 지긋지긋한 빚더미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하는 배씨의 얼굴에서는 기쁨이 빛났다.
"우리가 사는 영구임대 아파트 사람들 중에는 자포자기해 일을 않고 술로 지새우는 사람들이 적잖습니다.
나는 몸이 불편하지만 그 사람들은 정신이 불편한 사람들입니다.
나는 일할 수 있다는 것만도 너무 즐겁고 감사합니다". 배씨는 "내가 가진 장애나 현실 때문에 세상을 비관하지 않는다"고 했다.
"만석꾼에게는 만 가지 걱정이 있다고 하지 않는가"라고도 했다.
그리고 배씨는 일년 전부터 또다시 대구 북구장애인협회에 매달 4만원씩 후원하기 시작했다.
배신이 거듭될지라도 사람에 대한 믿음을 스스로 포기할 수는 없는 모양이었다.
사회1부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