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노 대통령 일문일답>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노무현 대통령은 28일 형 건평씨와 한 때 자신이 관여했던 생수회사를 둘러싼 의혹들과 관련, 기자회견을 갖고 "대선자금은 모두 당에서 관리했으며 잉여자금은 한 푼도 없다. 무슨 배짱으로로 국민들이 모아준 돈을 남겨서 쓸 수 있겠나"라며 리스자금 상환금과 대선자금과 무관함을 강조했다. 다음은 노 대통령과의 일문일답

-친인척 부동산 소유가 문제다. 소유과정을 보니깐 대통령이 과연 서민대통령인가 의문이 든다. 진영땅 일부가 대통령 소유가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 설명해달라.

▲진영땅은 세사람의 명의로 돼있는데 89년말이나 90년 매수한 것으로 기억한다. 이 땅 살 때 부산의 자동차 매매상사 매각한 돈 3억5천만원으로 샀다. 명의는 노건평 명의지만 내 재산으로 국회등록했다. 그후 선거에서 형에게서 돈을 많이 갖다 썼기 때문에 형 재산이 된 것이다. 그 후 이 땅은 '장수천'에 리스회사의 담보로 제공됐다가 경매됐고 경매될 때 노건평씨의 처남이 5억원 대출받아 경매받았고 이후 이 땅을 담보로 8억원을 대출받아 갚았다. 그러나 이 8억원은 갚지못해 다시 경매에 들어갔다. 경매에 들어가면 은행이 찾아가고 2,3순위자가 배당받아가는 것으로 처리될 것이다.

-한국리스여신에 가압류됐다가 해제된 것이 대선 전후한 시점이다. 단기간에 몇십억이 투입된 것은 대선잔여금 아니냐는 의문도 있다. 당시 대선 때 쓰고 남은 돈은 얼마나 되고 처리는 어떻게 됐나.

▲후보가 되면서 바로 당으로 들어갔다. 대선자금은 모두 당에서 관리했다. 대선자금은 한 푼도 남은 것이 없다. 그 당시 전적으로 돼지저금통으로 쓴 것은 아니지만 절반 정도가 국민들의 돈으로 치러졌다. 제가 무슨 배짱으로로 국민들이 모아준 돈을 남겨서 쓸 수 있나. 18억원이 변제되는 과정은 대체로 대선전에 대체로 변제되고 나머지 3억여원만 대선후 변제됐다. 그 돈도 대선후 변제됐다. 자세히 살펴보면 대선자금과는 관계없는 것을 알 수 있다.

-개발정보를 입수해서 땅을 매입했다는 등의 얘기가 있다.

▲진영읍 신용리에 있는 임야가 2천800만원이다. 2억 얼마다 하는데 그에 대해서는 전혀 아는 바가 없다. 그 때는 부산시장 후보로 입후보 검토할 때다. 형님이 개발정보를 여기 저기 흘러 다니는 것을 듣고 샀다가 깡통되고 만거죠. 저는 그에 대해 관여하지도 않았다. 정확한 정보가 있었다면 투자가 실패했겠느냐. 저는 그 땅과 전혀 관계가 없다

-야당에 따르면 97년 기업 리스측과 접촉, 대출압력을 행사했다고 하는데 사실 여부는 또한 관훈토론에서 "내 재산은 진영땅과 상가등을 합쳐 8억원정도"라고 했는데.

▲거치기간 연장은 실무자들이 요청했을 것이다. 사업하는 사람들이 부채만기가 되면 기간연장 요청하는 것은 당연한 일 아니냐. 거기에 제가 전화한 적은 기억없지만 간청했을 수도 있을 것이다. 채무자고 신용을 더 확보하기위해 좀 더 연장해달라고 했다면 그것이 무슨 문제냐. 96년 낙선하고 97년 10월 국민회의 입당, 그 사이에는 무소속으로 그야말로 백수다. 그것이 무슨 압력이 될 수 있겠느냐.

관훈토론회에서 질문에 섞여 넘어갔는지 모르겠는데 제 재산이 8억 정도 있다가 2억4천만여원으로 줄어들었다. 장수천이 경매되고 부도상태로 가는데 저는 그것을 재산등록상 채권으로 등록돼 있더라. 지난 번 경선때 삭제한 것이다. 그래서 6억이 한꺼번에 없어진 것이다.

-6월2일 회견이 예견돼 있는데 굳이 나선 이유는

▲의문스러운 사실 자체에만 얘기하자. 신문에 계속 의문으로 나오는데 해명안하고 넘어갈 수 있느냐 . 하루가 급하다. 노건평씨 재산은 80년대 초중반부터 계속 이어져 내려오는 재산이다. 노건평 재산은 그 때부터 사고팔고 한 것이다. 내가 국회의원이 된 것은 88년이다.

한편 노 대통령은 회견을 마치면서 "사업하는 동안 야당이었고 힘을 쓸만한 자리에도 없었으며 그 과정에서 어떠한 청탁이나 대가관계를 가진 것이 없었다"고 거듭 강조했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