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당직인선이 매듭지어졌으나 합의제 최고집행기관인 상임 운영위원 구성을 두고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전체 13석 중 당연직 상임 운영위원 6석(대표 및 당3역+전당대회의장+중앙위원회의장)을 제외한 7석의 인선을 둘러싸고 운영위원들이 '지역안배'를 주장하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최병렬 대표와 지역대표 운영위원 당선자 40명은 2일 오찬 모임을 갖고 상임 운영위원 선출방법에 대해 난상토론을 벌였다.
이 자리에서 운영위원들은 여성.청년.직능 몫의 상임 운영위원 수를 3명으로 제한하는 대신 선출직 수를 4명으로 늘려야 한다고 최 대표에게 요구했다.
특히 4명의 상임 운영위원은 지역안배를 통해 특정 지역이 편중되는 현상을 막아야 한다는데 뜻을 같이했다.
마찬가지로 여성.청년.직능 몫으로 지명되는 이들 역시 지역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해봉 의원은 "지역대표라는 새 당헌.당규 정신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지역할당제를 고려, 상임 운영위원을 선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대표 및 지도부 경선에서 전국 최고의 투표율에도 불구, 한 석도 꿰차지 못한 대구.경북의 배려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백승홍 의원도 "한나라당의 심장부임에도 불구, 상실감에 빠진 대구.경북을 배려하는 지역안배가 필요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또 부산출신 김무성 의원은 지역안배를 위해선 당 지도부의 출신지와 선거구와의 차이를 명확히 해야한다고 꼬집었다.
김 의원은 "최 대표의 선거구는 서울인데 출신지를 따져 영남권으로 보고 있다"며 "당연직으로 (상임 운영위원에) 참여하는 당 지도부의 지역간 분류를 명확히 해야 갈등소지를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경북 영주출신인 홍사덕 총무를 대구.경북 몫으로 볼 수 있느냐의 것도 논란의 대상이 됐다.
지역안배 원칙이 정해질 경우 홍 총무를 경북출신으로 보느냐의 여부에 따라 대구.경북 몫이 줄어들 수도, 늘어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어쨌든 운영위원들의 지역안배 요구에 수도권 지역을 제외한 호남.충청.부산지역 운영위원들이 적극 찬동했고 최 대표와 홍 총무도 고개를 끄덕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최 대표는 "오는 7일 운영위원 2차 회의에서 15명의 지명직 운영위원을 확정한 뒤 상임 운영위원 선출방식을 논의할 방침"이라며 "아예 상임 운영위원 임기를 6개월씩 나눠 전후반기 인사를 모두 뽑을 계획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