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청앞 시위 한달 7건꼴

최근 사회 각계각층의 집단 욕구가 분출하고 있는 가운데 대구시청 앞이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대구백화점 앞 도로와 함께 대구의 대표적인 집회·시위 장소가 되고 있다.

올들어 6월말까지 대구시청 앞에서 집회가 열린 날은 41일로 지난해 같은 기간(10일)보다 네배나 많았다.

중앙지하상가 재개발·대구지하철 참사 수습·주거지역 세분화 등을 둘러싼 굵직한 시위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인근 상가 주민들은 곤혹스런 표정들이다.

약국을 운영하는 김모(53·만촌1동)씨는 "집회가 열릴 때마다 시위자들이 확성기를 통해 내는 소음 때문에 괴롭다"며 "집회가 있는 날엔 손님들도 평소보다 준다"고 하소연했다.

여행사에서 근무하는 정모(40·여·내당4동)씨도 하소연을 늘어놓았다.

정씨는 "창문을 닫아도 소리가 그대로 들려 정신적 스트레스가 말이 아니다"며 "집회를 하더라도 주민 피해 없이 조용히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지난 2일 오전 대구시청 앞은 평온해 보였지만 그 며칠전까지 계속된 시위 흔적들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중앙지하상가 재개발의 불법특권 의혹 규명하라" "무능한 조해녕 시장 물러나라" 등의 현수막이 시청 맞은편 주차장에 걸려 있었고 청사 3~5층 사이 창문은 시위대의 계란 투척으로 얼룩져 있었다.

대구시청 총무과 이재경 서무계장은 "참여정부가 들어선 후 시민들이 집단으로 자기 목소리를 내려는 경향이 높아진 것 같다"며 "집회 때마다 소음으로 업무에 지장이 많다"고 말했다.

이 계장은 또 "가끔 시위가 격렬해져 시위대가 청사에 계란을 던지기라도 하는 날에는 청소비로 최소한 30여만원이 날아간다"고 덧붙였다.

경찰은 소음에 대해서는 간여할 수 없다는 입장. 대구 중부경찰서 김봉식 경비교통과장은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로는 집회 때 확성기 사용 등으로 발생하는 소음을 제재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직장인 강모(23·여·침산2동)씨는 "시청 앞 시위가 늘어난 것은 그만큼 대구시가 행정을 잘못하고 있다는 방증 아닌가?"라며 대구시청을 나무랐다.

대구 경실련 조광현 사무처장은 "시청 앞 집회가 많아진 것은 시민들의 권리의식은 갈수록 높아지는 반면 시 행정은 구태의연함을 벗지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시 당국의 자기개혁과 노력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창훈기자 apolonj@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