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인천의 30대 주부가 3남매와 함께 고층아파트에서 투신 자살한 사건은 충격에 앞서 정말 몸서리치는 정경이다.
실직한 남편이 가출한 후 파출부 등으로 혼자서 3남매의 끼니를 이어오다 도저히 감당을 못해 결국 동반자살을 택했다고 한다.
물론 이 30대 주부의 동반자살을 두고 "애들이 무슨 죄냐, 죽을려면 혼자 죽지…"하는 원망도 있지만 "오죽했으면…"이라는 동정론이 대세다.
더욱이 "엄마, 나죽기 싫어…안죽을래…"라며 애들이 죽기를 한사코 거부하며 울부짖었다는 아파트주민들의 목격담은 전 국민들의 눈시울을 적시게 하고 있다.
강원도 원주에선 감당못할 빚에 쪼들리다 30대 부부가 어린자매를 목졸라 숨지게한 후 함께 자살했다.
또 대구의 20대 청년은 대학졸업후 취직이 안되는데다 공무원 시험마저 낙방하는 바람에 농약을 마시고 자살했다고 한다.
지금 시중엔 "IMF때보다 장사가 더 안된다"는 상인들의 한결같은 걱정과 불안이 팽배해 있지만 '인천의 동반자살'사건은 서민들이 얼마나 살기가 어려운지를 단적으로 보여준 실증이다.
참여정부가 기치로 내건 저소득층의 복지정책이 기층민들에게는 미치지 못하고 있음에 다름아니다.
'약자의 편에 서겠다'는 참여정부의 정책은 엉뚱하게 '노조의 힘'만 키워주고 정작 생활고에 시달리는 저소득층은 이렇게 자살하는 아이러니가 빚어지고 있다.
청년실업이 40만명에 육박하고 일반실직자가 70만명에 이른다는 통계수치 이상의 실직문제가 심각한데다 가구당 3천만원의 빚을 지고 있는 우리의 경제현실이 결국은 이런 가정파탄으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정부는 우선 거시적 경제정책이나 실업대책도 마련해야겠지만 이런 극단적인 비극을 방지하기 위해선 읍.면.동마다 배치돼 있는 복지사들을 좀더 늘려서라도 지금 당장 어려운 가정을 샅샅이 찾아내 가능한 모든 지원을 하는 게 시급한 과제로 제언하고자 한다.
생활고 비관자살은 국민들의 가계를 더욱 움츠러들게해 결국 경기위축을 가중시키는 '해악'요소도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