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新黨놀음·말정치'너무 길었다

지금 노무현 대통령이 그를 당선시킨 여당 의원들로부터 연타석 공격을 받고있다.

최병렬 한나라당 대표도 뭔가 한가락 할 것 같더니만 여전히 당내 반발에 갈짓자 걸음이다.

어제 오늘 상황을 보면 특히 청와대와 민주당은 '콩가루'이외에 달리 표현할 방법이 없다.

신당은 실종되고 '리더십'은 집을 나가버린 것이다.

국민들은 방황할 수밖에 없다

신당파는 '민주당 해체포기'와 '인적청산 포기'를 마침내 선언했다.

대선이후 6개월동안 집권여당이 국정을 팽개치다시피 하고 매달려 온 개혁신당을 안하겠다는 것이다.

순수개혁만을 고집하다간 총선 패배가 불보듯하다는 절박감에서인지, 아니면 비주류의 결사저항을 꺾기 위한 우회전술인지 아직은 불분명하나, 그 '불분명함'이 계속 국정을 망쳐놓을 것 같은 예감이다.

결과적으로 "개혁!" 소리만 외치면 다 달아날 것같던 신주류·386들의 위세가 제풀에 힘빠진 꼴이면 애시당초 '개혁의 방법론'에서부터 틀렸다는 얘기가 된다.

국민이 지지해준 개혁을 방법론때문에 실패했다면 내년 총선에서의 문책은 불가피한 것이다.

어제 노무현 대통령은 장차관급 공직자와의 국정토론회에서 정부가 국정주도력을 상실할 위기에 처했음을 인정하고 그 대책을 주문했다.

안타깝다.

우리는 그 원인제공의 한 책임이 청와대에 있음을 부인하지 않는다.

'당정분리'에 숨어서, '코드'맞는 집단의 요구에 부응하려다 경제와 정치와 사회분위기 모두 위기상황을 맞게 된 것은 결과적으로 대통령의 책임일 터이다.

말만 많고 열매는 없는 정치- 그래서 국민들은 지지율 회수로 노정권을 경고한 것이다.

상황이 '신당 스톱'에까지 이른 판이면 이제 민주당 중진들의 '반노(反盧)'독설도 멈추어야 한다.

자기네들이 옹립한 대통령에게 '부도덕'이니 '사기'니 하는 표현을 예사로 쓰면 그 정권의 존립명분을 누가 받쳐 주는가? 집권여당이 장관해임안을 내자는 정당은 천재 아니면 바보들의 집단일 터이다.

여·야 모두, 정치란 정적(政敵)이 아니라 국민을 상대로 하는 것임을 깨닫기 바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