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행자장관 인선...청와대 시스템 '혼선'

행자부장관 인선을 둘러싼 청와대의 인사시스템이 혼선에 혼선을 거듭하면서 급기야 현직장관의 사표가 수리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후임장관이 내정돼 발표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17일 오전 김두관 행자부장관이 사표를 제출했지만 노 대통령은 사표를 수리하지 않았다.

전날 국무회의에서 "서두를 일이 아니고 수해복구 등 사후처리를 행자부장관이 책임지고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한 바 있는 노 대통령은 이날 수해복구가 끝날때까지 일해달라며 당분간 사표를 수리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행자부는 당분간 퇴임할 장관과 내정된 장관을 모시는 기형적인 체제가 불가피하다.

청와대의 인사시스템도 정상적이지 않은 모양새를 노출했다.

김 장관이 사표를 제출하지도 않은 16일 청와대는 고건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인사추천위원회를 열어 후임장관인선을 최종협의했다.

인사추천위원회가 열리기 전부터 후임장관에는 허성관 해양부장관이, 후임 해양부장관에는 최낙정 차관이 내정됐다는 소문이 흘러나왔다.

정찬용 인사보좌관은 "전혀 모르는 일"이라고 해명했지만 결과적으로는 거짓말을 한 꼴이 됐다.

그래서 이번 인사는 노 대통령의 '낙점인사'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와 관련, 윤태영 대변인은 김 장관이 자진사퇴의사를 밝힘에 따라 절차를 따른 것일뿐이라고 밝혔다.

정 인사보좌관도 "이번 인사를 위한 인사보좌관실의 행정절차는 해임건의안이 국회에 보고된 지난 1일부터 시작됐다고 보면 된다"며 장관후보군에 대한 검토를 시작, 25명의 후보를 압축했다고 밝혔다.

지난 4일과 8일 인사추천위를 열어 후보자를 3명으로 좁혔으며 이어 16일 최종점검에 들어가 대통령에게 보고키로 결정했고 김 장관이 사표를 제출하자마자 곧바로 후임인사를 발표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행자부업무와는 전혀 동떨어진 부처의 장관을 이동시킨 것과 관련, 적재적소의 인사였느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청와대는 허 장관이 회계와 경영을 전공, 지방재정분권과 경영혁신에 적임자라고 판단했다고 밝히고 있지만 이는 김두관 장관 임명당시 내세웠던 명분과 전혀 다른 것이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