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盧대통령 차라리 '깃발'을 올리라

도대체 지금 행자부 장관이 누구인가? 김두관인가 허성관인가. 정답은 '허두관'이다.

도대체 지금 집권여당은 어느 쪽인가? 민주당인가 신당파인가. 답은 실종(失踪)당이다.

정말로 장관들도 인수인계 기간이 필요하다는 판단의 결과라면 모르겠지만 어째 사퇴보류를 당부했던 노무현 대통령의 자존심 살리기 때문에 '허두관'이 생겼다는 느낌이니 어쩌랴. 마찬가지로 '실종당'탄생도 노 대통령의 복잡한 정치적 계산의 결과, 그리고 그 여당 실종의 '결과'가 장기화되리란 점에서 국민은 여전히 불안하고 혼란하다.

다행히도 노 대통령은 엊그제 신당지지 발언을 해버렸다.

지금 서류상 당적은 민주당이지만 심정적 당적은 '신당'이란 뜻으로 읽힌다.

그 '친노신당'의원들이 내일 탈당, 교섭단체 등록을 함으로써 향후 국회는 4당체제의 각축장이 되게 됐다.

우리는 정치판이 4당이든 40당이든 개의치 않는다.

다만 3당시절 당정분리를 내세움으로써 빚어진 집권 민주당의 내분과 국정혼란에 책임있는 대통령께서 신당지원 발언만 툭 던진채 또다시 명쾌한 진로 선택없이 지켜보겠다는 태도라면 못마땅하다.

엊그제의 말씀처럼 '새로운 정치질서의 탄생'을 기대하는 것은 좋다.

그러나 거듭된 '처신보류'는 거듭된 정치혼돈을 빚는 것이기에 좋지 않다.

지금까지의 노 대통령의 '입장표명 유보'는 좋게 말해 '중립'이지 곡해하면 '양다리'다.

그게 전략적 모호성인지 우유부단인지 알 수 없으되, 그로인해 당장 불거진 문제가 '책임정치 실종사태'다.

이미 시작된 정기국회와 22일부터 시작될 국정감사에서 고건 국무총리를 비롯한 각부 장관들이 여당 파트너를 잃어버린 것이다.

당장 예산과 정책을 조율해야할 고위 당정회의도 멈춰 버렸다.

그에 따른 정국혼란이 내년 총선까지 뻗쳐질 것 또한 불문가지다.

노 대통령은 미국식 등거리 정치를 해보겠다지만 거기엔 탁월하고도 유연한 정치력이 요구된다.

7개월의 경험상 어떤가? 그보단 차라리 이쪽이든 저쪽이든 '깃발'을 올리고 심판받는 것이 확실하지 않겠는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